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제32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 개최

6·10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옛 남영동 대공분실서 ‘민주주의 100년, 그리고 1987’ 주제로 10일 개최
서지현 검사·대한항공 박창진 사회… 故김용균 씨 모친 김미숙 씨, 한종선 선생 등 시민 8명 무대에 올라
미술 전시 등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부대행사 진행

서울(의왕)--(뉴스와이어) 2019년 06월 07일 -- 6월 10일(월) 오전 11시 민주인권기념관(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행정안전부가 주최하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주관하는 ‘제32주년 6·10민주항쟁 기념식’이 민주화운동 관련 인사 및 진영 행정안전부장관, 각 당 대표 등 정관계 인사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다. 


남영동 대공분실(민주인권기념관)은 6·10민주항쟁의 도화선이 된 ‘박종철고문치사 사건’이 일어난 비극의 현장으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전환점이 되었던 6·10민주항쟁의 의미를 오늘에 되새기고, 민주주의와 인권의 소중함을 기억하기 위한 기념식 장소로 선정되었다. 

미투 운동으로 우리 사회에 경종을 울린 ‘서지현 검사’와 민주기업 문화전파를 위해 분투 중인 ‘박창진 전 대한항공 사무장’의 사회로 진행되는 이번 기념식은 ‘역사어린이합창단’의 사전 공연, 경과보고 영상 상영, 애국가 제창, 대통령 기념사(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대독), 축하 공연, 국민의 소리, ‘광야에서’ 제창 등의 순서로 진행될 예정이다. 

‘민주주의 100년, 그리고 1987’이라는 주제로 기획된 이번 행사는 3.1운동이 발생하고 우리나라 최초로 민주공화제를 선포한 임시정부가 수립된 1919년부터 2019년 현재까지 100년의 역사를 ‘민주주의 발전’ 100년 역사로 보고 이를 표현하고자 했다. 광복군 김학규 지사의 아들인 김일진 씨 등 독립유공자 후손과 4·19민주화운동 당사자, 5·18광주민주화운동 당사자, 남영동 고문 피해자 등이 애국가 제창을 위해 함께 무대에 오르는 것이 대표적이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민주주의 100년에 관한 자부심과 긍지를 공유하고 더 나은 민주주의를 꿈꾸기 위해 우리가 당면한 과제가 무엇인지 낭독하는 ‘국민의 소리’가 진행되는 점도 눈에 띈다. ‘국민의 소리’는 시민들이 직접 무대에 서서 더 좋은 민주주의와 평화에 대한 메시지를 발표하는 시간으로, 올해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지선 이사장과 함께 △故 김용균 씨 어머니 김미숙 씨 △형제복지원 피해자 한종선 선생 △청소년 페미니즘 모임 양지혜 씨 △박선욱 간호사 사망사건 공대위 간호사 이민화 씨 △특성화고졸업생 노동조합 위원장 이은아 씨 △우리만화연대 만화가 유승하 씨 △남영동 고문 피해자 최연석 선생 등이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축하 공연에는 가수 장필순 씨가 무대에 올라 ‘제비꽃’을 노래할 예정이며 뒤이어 세월호 참사 피해자와 일반 시민 등으로 구성된 ‘4·16합창단’과 ‘평화의 나무합창단’ 등이 무대에 올라 ‘내가 가는 이 길이 험난하여도’, ‘상록수’ 등을 노래할 예정이다. 

한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6·10민주항쟁 32주년 기념식’ 전 후로 다양한 부대행사와 함께 1970~80년대 인권유린과 탄압의 공간이었던 남영동 대공분실을 기억하는 기획전시 ‘잠금해제(Unlock)’ 展을 개최할 예정이다. 민주인권기념관(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에는 ‘잭슨홍’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 중인 예술가들이 참가하였으며, 옛 남영동 대공분실의 본관(3층, 5층 조사실)과 부속건물을 활용한 다양한 설치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개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행정안전부 산하 공공기관으로서 지난해 12월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을 경찰청으로부터 이관받아 ‘민주인권기념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democracy.or.kr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관련기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혈관질환자 중강도 이상 운동 꾸준히 하면 재발위험 13%↓"
심혈관질환 환자 중엔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우려에 운동을 꺼리는 경우가 있지만, 오히려 꾸준한 운동이 재발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병원 권준교 교수팀이 이런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영국 스포츠의학 저널'에 최근 게재했다고 14일 밝혔다. 권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0∼2017년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진단받고 관상동맥중재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20세 이상 환자 3만여 명의 운동량 변화와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6.7년간 추적 관찰했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혈관 내에 급성으로 생긴 크고 작은 혈전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혈관이 폐쇄되거나, 혈전에서 분비된 혈관 수축성 물질로 인해 심장에 혈류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진단을 받기 전과 후에 주 1회 30분 이상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가볍게 뛰기 등의 '중강도 이상 운동'을 한 그룹의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은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그룹보다 13% 낮았다. 진단받은 후에 새롭게 운동을 시작하더라도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메디칼산업

더보기
트럼프 타깃 된 '약값'…美 vs 韓·日·유럽 제도 어떻게 다르길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하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글로벌 제약사뿐 아니라 외국 정부들도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유럽이 내는 만큼 낼 것"이라며 미국의 약값을 유럽 등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평준화하겠다고 밝혔다. 비싸기로 악명 높은 미국 약값을 다른 나라 최저가 수준으로 낮춘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부터 공언해온 내용이지만, 당시엔 제약업계의 반발 등으로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같은 약인데도, 심지어 미국 제약사의 약인데도 미국 내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비싼 것은 약가 결정 체계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미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른 국가보다 약값에 있어 국가 통제력이 약하다. 가령 우리나라의 약값 결정 구조를 보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의약품의 경우 제약사나 약국이 자체적으로 가격을 책정하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의약품이라면 복잡한 절차를 거친다. 제약사가 신약에 대한 급여 적용을 신청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가 등재 여부를 심의한다. 여기서 통과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약사와 약가 협상을 벌이고 건강보험 정책 최고 심의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