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벳,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서 투약보조제 웰케어 제품세미나 진행

임상실험을 통해 검증된 약물보호 효과와 높은 기호성에 주목

(미디어온) 벨벳이 지난 7일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전용 전문투약보조제 웰케어에 대한 제품세미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웰케어의 투약보조제로서의 기능과 생유산균 효소제로서의 기능을 중점으로 진행됐으며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스코필드홀에서 약 40여명의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소속 수의사와 관계자가 참석했다.

웰케어는 반려동물전용 전문투약보조제로 기존의 반려동물 투약방법의 문제점에 착안해 벨벳이 개발한 제품이다. 기존에는 반려동물에 약을 먹이기에 급급해 간식이나 꿀, 잼, 고구마 등에 약을 비비거나 숨겨서 반려동물에 투약했지만 간식, 꿀, 잼, 고구마 등은 수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위산으로부터 약물을 보호하는 능력이 없어, 약물이 위에 체류하는 동안 위산에 노출돼 파괴될 가능성이 높다.

웰케어는 오일성분을 주성분으로 한 겔타입 제형으로, 오일성분이 약물을 보호하듯 감싸 위산으로부터 약물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웰케어에 함유된 효소가 약물의 체내흡수를 도와 약효를 높여준다.

웰케어의 약물보호효과는 경북대학교 수의과대학에서 진행한 임상실험을 통해 검증됐다. 신체검사에서 임상적으로 건강한 수컷 비글견 6두를 대상으로 진행했고 3두는 Enrofloxacin+증류수, 3두는 Enrofloxacin+웰케어를 투약했다. 시간대 별로 혈액을 체취해 HPLC방식으로 혈중약물농도를 측정했으며 실험결과 Enrofloxacin을 웰케어에 섞어 투약했을 때 혈중약물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웰케어의 생유산균 효소제로서의 기능은 웰케어가 약물을 보호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웰케어에 함유된 유산균은 오일성분으로 보호돼 위산에 파괴되지 않고 장으로 이동하며, 효소가 체내에 잘 흡수되도록 도와준다.

또한 웰케어는 100마리의 강아지 중 94마리의 강아지가 거부반응 없이 웰케어를 먹을 정도로 기호성이 높다. 하지만 후각이 극도로 예민한 강아지와 고양이는 거부반응을 보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수동급여를 통해 급여할 수 있다. 웰케어는 겔 타입의 제형이라 점성이 있어 손가락으로 뜨기에 용이하다. 강아지의 경우, 웰케어를 손가락으로 떠서 입천장에 발라주면 되고, 고양이의 경우 웰케어를 손가락으로 떠서 윗입술과 잇몸 사이에 발라주거나 입주변에 묻혀주면 된다.

제품세미나에 참석한 서울대학교 황철용 동물병원장은 “기존 반려동물 투약방법의 문제점을 환기시키고 투약보조제로서의 웰케어의 장점을 알게 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며 “웰케어를 통해 아픈 반려동물들의 회복기간이 단축되고 보호자와 반려동물이 투약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웰케어는 동물병원 전용 제품으로 가까운 동물병원에서 구매할 수 있다.

관련기사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 AI 진단보조시스템 도입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해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기존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돼 실시간 진료에 활용된다. 폐결절, 유방암, 치매, 뇌졸중 같은 주요 질환의 영상 판독과 식약처 인증을 받은 설루션을 지원하는 등 의료진의 판독 업무를 보조해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게 된다.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은 3개 병원의 영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학습용 데이터로 전환해 의료 AI 기업의 데이터 확보 어려움을 해소하게 된다. 유신씨앤씨 컨소시엄이 수행하는 실증사업은 오는 11월까지 7개월간 진행된다. 컨소시엄에는 PACS 연동과 영상 데이터 가명화에 강점을 지닌 유신씨앤시, 폐결절과 유방암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진단 설루션을 보유한 루닛, 뇌질환 중심의 MRI 기반 분석 기술에 특화된 휴런 등 분야별 전문기업이 참여한다. 도는 사업 종료 시점에 맞춰 성과공유회를 열고 시스템 운영 결과와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향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