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항균 나노입자' 3주내 빠르게 검증 방법 개발

 국내 연구진이 나노입자 형태의 항균물질을 간단하게 합성하고 효능과 인체 유해성을 3주 내에 빠르게 검증하는 방법을 개발해냈다.

 18일 연세대에 따르면 이 대학 기계공학과 황정호 교수 연구팀은 은ㆍ구리 등 항균물질에 전극을 꽂아 수백㎚(나노미터) 크기의 입자로 합성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황 교수 연구팀은 항균 능력이 좋은 구리에 인체 유해성이 낮다고 알려진 물질인 텔루륨을 결합하면 높은 항균성을 유지하면서도 인체 유해성은 현저하게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항균 나노입자 합성에 응용했다.

 전구체 용액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보다 간단하고 폐수도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방식이라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또 이렇게 생성해낸 나노입자의 기능과 인체 유해성 여부를 3주 내에 검증하는 새로운 평가법도 고안해냈다. 이 평가법으로 검증한 결과, 연구팀이 만들어낸 입자는 높은 항균성과 낮은 유해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됐다.

 논문에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연세대 박사과정 박대훈 씨는 "기존에 짧아도 수개월이 걸리던 유해성 검증 과정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미세먼지나 가습기 살균제 등으로 인한 국민적 우려를 해소할 해결책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영남대 약학과 김종오 교수, 기계공학과 변정훈 교수 연구진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이뤄졌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ACS 나노(Nano)' 2019년 11월 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내산 헤어드라이 전자파 1168mG(인체보호기준 833mG) 검출…"안전기준 넘어"
국내산 헤어드라이어 전원을 켜고 전자파 측정기를 가까이 대자 측정기 속 숫자가 1168mG(밀리가우스)까지 치솟았다. 중국산 헤어드라이어도 최대 922.3mG를 기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인체보호 기준 833mG를 넘어선 수치다. 시민단체 환경보건시민센터는 5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헤어드라이어, 휴대용 선풍기 등 전기전자제품의 전자파 측정 시연을 했다. 센터는 "과기정통부는 시중 유통 제품 중 833mG를 초과한 사례는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기정통부가 833mG를 안전 기준으로 내세운 데 대해서도 "엉터리 기준"이라고 비판했다. 센터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가 소아 백혈병 원인에 대한 연구 결과로 내세운 4mG가 인체 보호 기준이 돼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이날 시연에서 목에 거는 휴대용 선풍기와 노트북 어댑터에서는 최대 360.4mG, 440mG의 전자파가 각각 검출됐는데, 센터는 "4mG를 훨씬 넘어서는 수치이므로 위험하다"고 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적 측면에서만 접근할 뿐 국민의 건강이나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며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많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