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심근경색 치료법 환자적용 못해…심사에 가로막혀

서울대병원 "유효성 입증 불구"…이달말 최종평가

 심근경색 환자의 심장 괴사를 막는 줄기세포 치료법이 신의료기술로 인정받기 위한 최종평가를 앞두고 있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줄기세포 치료법 '매직셀'을 개발하고 올해 2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신의료기술 평가를 신청했다.

 심근경색 환자들은 표준적으로 혈관을 뚫어주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을 받는다. 하지만 스텐트 시술을 받더라도 일부 심근은 손상된 상태로 남아있고, 심근경색 이후에도 심근 손상이 진행돼 심부전 등을 겪게 된다.

 매직셀은 이런 심근 손상을 개선하는 치료법이다. 스텐트 시술 이후 환자 심장에 환자의 말초혈액 줄기세포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 줄기세포에서 나온 이로운 인자들이 심근세포 재생을 도와 심장 괴사를 막는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 12년간 '란셋'(Lancet),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 등 국제학술지 16편에 게재됐다.

 하지만 매직셀은 현재 환자에게 적용할 수 없다.

 새로운 의술이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신의료기술 등으로 인정받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신의료기술 평가위원회는 이달 말 매직셀에 대한 최종심사를 할 예정이다.

 다만 지난달 예비심의에서는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매직셀이 제한적 신의료기술로 선정돼 2014년 10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임상을 시행한 결과, 심장 기능이 개선된다는 유효성이 일관되게 입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김 교수는 "평가위원회에서는 매직셀이 스텐트와 비교해 좋은 점이 무엇인지 입증하라고 한다"며 "매직셀은 스텐트 시술 이후 환자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이뤄지는 추가적인 치료인데 평가위원회가 개념 자체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매직셀의 효과와 안전성은 저명한 국제학술지를 통해 학술적으로 입증됐다"며 "그런데도 전문성이 부족한 평가 절차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병원 신설 문턱 높아진다…정부, '개설 허가 사전심의제' 도입
병원급 의료기관을 새로 열기 위한 절차가 한층 까다로워진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신청 전에 시도 의료기관개설위원회의 사전 심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의료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입법 예고하고 다음 달 21일까지 국민 의견을 수렴한다. 이는 지난해 12월 공포된 개정 의료법의 후속 조치로, 병상 과잉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별 의료 자원의 균형 있는 배치를 유도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병원급 의료기관 개설 허가 사전심의 절차' 신설이다. 기존에는 병원 설립 때 시설, 인력 등 법정 기준만 충족하면 비교적 쉽게 개설 허가를 받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이 기준 충족 여부와 별개로 시도 단위의 위원회 심의라는 관문을 먼저 통과해야 한다. 정부가 이런 제도를 도입하는 배경에는 수도권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병상 수급 불균형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특정 지역에 병상이 과도하게 집중되면서 불필요한 의료 경쟁을 유발하고, 정작 의료 자원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불편을 겪는 상황이 지속돼 왔다. 특히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효율적으로 의료 자원을 관리하는 게 그 어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노년기 유튜브 과의존…편향된 유튜브 이용이 결국 중독 불러
초고령사회에서 노인에게 소셜미디어(SNS) 속 영상과 댓글, 알림음은 이제 무료한 시간을 달래주는 매력적인 친구가 됐다. 이 중에서도 유튜브는 다양한 정보와 즐거움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노인들의 디지털 미디어 이용률을 견인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꼽힌다. 하지만 빛이 강렬할수록 그림자도 짙어지는 법. 그동안 노인들에게 친구 노릇을 해온 유튜브의 과의존 및 중독 문제를 경고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빠지면 헤어 나오기 힘들게 만들어진 유튜브의 개인 맞춤형 알고리즘이 노인들의 소중한 시간을 갉아먹고 정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가톨릭대 의대 정신건강의학교실 이해국 교수는 최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가 개최한 미디어 아카데미에서 '노인 계층 디지털미디어 중독의 숨겨진 역학'이라는 주제 강연을 통해 이런 문제점을 짚었다. 이 교수는 먼저 국내에서 노인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 증가에 따른 중독 위험이 커졌다고 밝혔다. 실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60세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은 매년 높아져 2024년에는 83.1%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이 특히 구별되는 건 다양한 매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