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기세포 심근경색 치료법 환자적용 못해…심사에 가로막혀

서울대병원 "유효성 입증 불구"…이달말 최종평가

 심근경색 환자의 심장 괴사를 막는 줄기세포 치료법이 신의료기술로 인정받기 위한 최종평가를 앞두고 있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김효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줄기세포 치료법 '매직셀'을 개발하고 올해 2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신의료기술 평가를 신청했다.

 심근경색 환자들은 표준적으로 혈관을 뚫어주는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을 받는다. 하지만 스텐트 시술을 받더라도 일부 심근은 손상된 상태로 남아있고, 심근경색 이후에도 심근 손상이 진행돼 심부전 등을 겪게 된다.

 매직셀은 이런 심근 손상을 개선하는 치료법이다. 스텐트 시술 이후 환자 심장에 환자의 말초혈액 줄기세포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이 줄기세포에서 나온 이로운 인자들이 심근세포 재생을 도와 심장 괴사를 막는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 12년간 '란셋'(Lancet),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 등 국제학술지 16편에 게재됐다.

 하지만 매직셀은 현재 환자에게 적용할 수 없다.

 새로운 의술이 임상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신의료기술 등으로 인정받는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신의료기술 평가위원회는 이달 말 매직셀에 대한 최종심사를 할 예정이다.

 다만 지난달 예비심의에서는 유효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왔다. 매직셀이 제한적 신의료기술로 선정돼 2014년 10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임상을 시행한 결과, 심장 기능이 개선된다는 유효성이 일관되게 입증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김 교수는 "평가위원회에서는 매직셀이 스텐트와 비교해 좋은 점이 무엇인지 입증하라고 한다"며 "매직셀은 스텐트 시술 이후 환자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이뤄지는 추가적인 치료인데 평가위원회가 개념 자체를 잘못 이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매직셀의 효과와 안전성은 저명한 국제학술지를 통해 학술적으로 입증됐다"며 "그런데도 전문성이 부족한 평가 절차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