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궤양성대장염, 조직검사서 염증세포 사라져야 재발률 감소"

악화·호전 반복 특성…"내시경뿐만 아니라 조직검사 필요"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궤양성 대장염은 내시경 검사뿐만 아니라 조직 검사에서도 염증세포가 없다고 확인돼야 재발률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윤혁 교수팀은 2019년까지 보고된 31개의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장 점막에서 염증세포가 없어지는 '조직학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가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재발률이 낮다는 것이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 점막에 염증으로 인해 궤양이 생긴 만성 면역질환이다. 완치되기 어려운 재발성 질환으로 증상이 악화하는 '활동기'와 호전하는 '관해기'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다 보니 지속해서 관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데 잠시 증상이 호전된 상태를 염증이 사라졌다고 착각해 치료에 소홀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다 장내에 남아있던 염증이 재발하는 경우가 많아 상당한 주의가 요구된다.

 의료계에서는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할 때는 내시경으로 궤양이 없어졌는지를 보고 조직검사까지 시행해 염증세포가 완벽히 사라졌는지를 확인(조직학적 관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조직학적 관해를 확인하는 실질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최근까지 보고된 연구를 종합해 조직학적 관해까지 도달한 궤양성 대장염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의 재발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한 후 내시경에서 증상이 호전한 환자 중 조직검사에서도 염증세포가 없다고 확인된 환자는 약 75%였다.

 조직검사 상 염증세포가 없던 환자는 염증세포가 남아 있는 환자에 비해 재발률이 63% 낮았다.

 이와 함께 임상적 증상과 내시경 검사에서 염증이 사라진 환자는 1년 내 재발률이 14%였으나 조직검사에서도 염증이 사라진 것으로 확인된 환자의 재발률은 5% 정도에 불과했다.

 윤 교수는 "현재는 혈변 등의 증상이 호전되고 내시경에서 궤양이 보이지 않는 상태를 궤양성 대장염 치료의 목표로 삼고 있다"며 "연구 결과 조직학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에서 재발률이 훨씬 낮은 만큼 앞으로는 점막조직의 염증세포가 완벽하게 치료됐는지 확인하는 조직검사도 치료 목표에 포함해야 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소화기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위장병학(Gastroenterology)(IF 17.373)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