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대장암 관계, 남녀가 다르다"

 비만이 대장암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가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Bristol) 대학 세포·분자의학대학의 엠마 빈센트 교수 연구팀은 남성은 체질량지수(BMI: body-mass index), 여성은 허리-엉덩이 둘레 비율(WHR: waist-to-hip ratio)이 대장암 위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22일 보도했다.

 BMI는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서방에서는 25~29면 과체중, 30이상이면 비만으로 간주된다.

 WHR은 허리둘레를 엉덩이둘레로 나눈 수치로 여성은 0.85, 남성은 0.9 이상이면 복부비만으로 간주된다.

 남녀 대장암 환자 5만8천221명과 대장암이 없는 남녀 6만7천69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남성은 BMI 4.2 kg/㎡당 대장암 위험이 23%, 여성은 BMI 5.2 kg/㎡당 9%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WHR은 0.07 올라갈 때마다 여성은 대장암 위험이 25% 높아지는 데 비해 남성은 5%에 불과했다.

 이는 남성은 BMI가 높을 때, 여성은 WHR이 높을 때 대장암 위험이 커짐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결과에 대해 영국 암 연구소의 나타샤 파톤 보건정보국장은 과체중과 암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BMI를 이용하고 있는데 허리에 쌓인 과잉 지방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논평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바이오메드 센트럴-의학'(BMC - Medicine) 최신호에 실렸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