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감전 사상자 26%…7∼8월 감전·낙뢰 주의

행안부, 장마철 맞아 주의 당부

 행정안전부는 본격적인 장마철을 맞아 8일 감전이나 낙뢰 등 안전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2017∼2019년 감전으로 인한 사상자는 1천555명(사망 63명·부상 1천492명)에 달했다.

 월별로는 비가 자주 내리는 8월(202명)과 7월(197명)에 사상자가 가장 많았다. 감전 사상자 4명 중 1명(25.7%)은 7∼8월에 발생하는 셈이다.

 감전 형태로는 전기가 흐르는 충전부 직접 접촉이 818명(52.6%)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불꽃방전(548명), 누전(112명) 등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46∼50세가 206명(13.2%)으로 가장 많았다. 0∼5세 감전 사상자도 85명(5.5%)에 달해 영유아 감전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 감전은 주로 전기공사와 보수 작업 도중 발생하지만, 장난과 놀이로 인한 사상자(97명)도 적지 않았다.

 
최근 3년간 감전사상자 발생 현황

 아울러 여름철은 대기 불안정으로 인한 낙뢰가 잦은 시기로 야외활동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011∼2020년 관측된 낙뢰는 연평균 11만7천681회에 달했다. 월별로는 7∼8월 관측된 낙뢰가 7만7천569회로 65.9%를 차지했다.

 여름철 발생하기 쉬운 감전 사고를 예방하려면 누전차단기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전기 설비를 정비하거나 보수할 때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 또 젖은 손으로 헤어드라이어 등 전기용품이나 콘센트를 만져서는 안 된다.

 특히 어린이 감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콘센트에 안전 덮개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로 위 세움 간판은 비가 오면 물기가 없는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전선 등이 노출되지 않도록 잘 정리해야 한다.

 낙뢰가 예보될 때는 외출을 삼가고, 실외에 있을 때 낙뢰가 치면 자동차나 건물 안, 지하공간 등으로 대피한다.

 특히 야외 활동 시 큰 나무나 바위 등 높이 솟아있는 곳은 피하고, 우산이나 지팡이 등 길고 뾰족한 금속으로 된 물건은 몸에서 멀리 두어야 한다.

 고광완 행안부 예방안전정책관은 "강풍·호우 등 기상예보 시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안전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