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9월부터 한달짜리 방역전략 준비…추석연휴 포함해 금요일 발표

 정부는 현재 2∼3주 간격으로 적용해 왔던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을 내달 6일 이후에는 한 달 간격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31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에서 내주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조정안의 적용 시기를 두고 "전체적으로 한 달 정도의 방역전략을 어떻게 가져갈지를 논의하면서 거리두기 단계와 방역수칙을 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 반장은 "구체적인 적용 기간에 대해서는 9월 3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논의한 뒤 결정한다"고 덧붙였다.

 내달 5일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수도권 4단계, 비수도권 3단계) 조치가 종료됨에 따라 정부는 이후 적용할 거리두기 조정안을 검토하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주 금요일 중대본에서 추석 연휴를 포함한 약 한 달간의 방역전략을 논의해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손 반장은 이 발언 중 '한 달간의 방역전략'에 대해 "이번 거리두기 기간은 추석 연휴(9.19∼22)를 끼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충분히 감안한 거리두기 조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손 반장은 이어 "(9월) 3주차가 추석 연휴 기간이기 때문에 연휴에 대한 대책을 함께 포함해 거리두기와 추석 대책을 함께 고려해야 하고, 추석 이후에 방역상황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는 1주 정도의 시차를 두고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그 기간까지 고려하면서 전체적인 방역전략을 설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내달 3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과 함께 추석 연휴 특별방역대책도 발표한다.

 정부는 추석 연휴 '이동자제'를 원칙으로 삼는다는 입장이지만 요양병원·시설 면회 등 가족 모임을 일부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별개로 현재 거리두기 4단계가 적용되는 제주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추석을 앞두고 지난 21일부터 내달 20일까지 문중 벌초 인원을 최대 8명까지로 허용하고 가족 묘지 벌초를 위해서는 오후 6시 이후에도 4명까지 모일 수 있도록 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이 조치가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느냐는 질의에는 "제주 같은 경우 문화적 특성이 다른 지역과 다르기 때문에 이 사례를 일반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