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52% "코로나 머지않아 끝날 것"…일본인은 28% 불과

입소스, 국제 여론조사 결과…중국인 61%, 미국인 30% 응답률

 

 한국인의 52%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머지않아 끝날 것이라고 예상해 글로벌 평균을 상회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여론조사기관 입소스는 미국에 본부를 둔 핼리팩스 국제안보포럼(HISF)의 의뢰로 지난 9월 24일부터 10월 8일까지 28개국의 국민 2만2천1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관련 여론조사 결과를 20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이번 조사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억제돼 왔고 머지않아 끝날 것이라는 응답률은 지난해 조사 때보다 12%포인트 늘어난 45%였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인도가 각각 79%, 77%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말레이시아(69%), 중국(61%)이었으며 한국과 이탈리아가 각각 52%로 뒤를 이었다. 한국의 응답률은 1년 전보다 23%포인트 높아졌다.

 반면 미국(30%), 호주(29%), 일본(28%), 캐나다(28%)는 이 응답률이 가장 낮은 4개국으로 분류됐다.

 '바이러스가 억제됐다고 증명될 때까지 국경을 닫고 출입을 허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보느냐'는 문항에선 56%가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는 작년 조사 때보다 12%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말레이시아가 85%로 가장 높았고, 인도(75%), 터키(70%)가 뒤를 이었다.

 한국의 경우 이 응답률이 작년보다 10%포인트 줄어든 48%로 28개국 중 20번째에 랭크됐다.

 전염병 대유행 대처에 훌륭한 리더십을 보여줬다고 생각하는 나라나 기구를 묻는 문항에선 뉴질랜드(73%), 캐나다(73%), 독일(71%), 스웨덴(70%)이 상위권에 올랐다.

 한국에 대한 응답률은 58%로, 프랑스(59%)와 영국(58%) 수준이었다. 중국과 미국은 각각 47%, 46%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입소스는 "국제적으로 코로나19가 억제됐는지에 관해선 의견이 갈리지만 고비를 넘겼다는 낙관론이 커지고 있다"며 "국경 개방에 대한 지지도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