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바꾼 의식주…홈웨어·홈쿡·편의점 대세

레깅스 등 애슬레저룩 인기·밀키트에 홈카페도 늘어
'홈어라운드 소비'에 자택 인근 편의점 이용 급증
신한카드 2019·2021년 상반기 월평균 이용 건수 분석 결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집콕' 생활이 일상화되면서 우리나라 국민의 의식주가 홈웨어와 홈 쿡 그리고 집 근처 편의점을 주로 이용하는 추세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신한카드가 코로나19 발생 전후인 2019년 상반기와 2021년 상반기의 월평균 이용 건수를 분석해보니 이런 결과가 나왔다.

 여성 레깅스 등 에슬레틱(운동 경기)과 레저(여가)를 합친 스포츠웨어를 뜻하는 애슬레저 브랜드 이용 건수는 올해 상반기에 2019년 상반기보다 매월 평균 70% 이상 늘었다.

 애슬레저 브랜드 이용 건수는 올해 2월과 3월에 2019년 동월 대비 각각 138%와 139%나 급증했다.

 조사 기간 애슬레저의 연령별 이용 증가율은 50대와 60대가 각각 228%와 218%나 급증했으며 40대는 146%, 30대는 61%, 20대는 46% 증가했다.

 이는 코로나19로 패션업계가 전반적으로 침체한 가운데 집콕 문화와 홈트레이닝 열풍이 이어지면서 애슬레저룩이 큰 인기를 큰 것으로 보인다.

 집에서 입는 평상복인 잠옷 등의 홈웨어는 조사 기간 매월 200% 이상 폭증했다.

 올해 3월과 4월의 홈웨어 브랜드 이용 건수는 2019년 동월 대비 각각 530%와 594%나 늘었다.  

 특히, 연령별로는 40대의 이용 건수가 조사 기간에 무려 540% 급증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재택근무가 일상화되면서 정장 등 출근복 대신 홈웨어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신한카드는 "올해 상반기에 2019년 대비 에슬레저룩과 홈웨어의 소비가 증가했다"면서 "집콕 생활과 근거리 외출이 늘어나며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의 선호가 높아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먹는 문화 또한 코로나19가 집에서 해결하는 '홈 쿡'으로 크게 바꿔 놓았다.

 가정간편식(HMR) 및 밀키트(레시피 박스)의 올해 상반기 이용 건수는 2019년 동기보다 매월 160% 이상 늘었다. 올해 2월과 6월에는 2019년 동월 대비 각각 240%와 258%가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40대 증가가 두드러졌다. 30대와 40대의 HMR 및 밀키트 이용 건수는 조사 기간 각각 204%와 224%가 늘었다.

 집을 카페처럼 꾸려 차를 즐기는 홈 카페 관련 용품도 인기다.

 올해 상반기 홈 카페 용품 이용 건수는 전년 대비 매월 76% 이상 늘었다. 연령별 증가율은 조사 기간 50대가 144% 급증했고 60대와 20대도 각각 128%와 127%가 증가했다.

 신한카드는 "홈 쿡, 홈 카페 트렌드가 가속화되고 있다"면서 "집 안에서 맛있는 한 끼와 함께 다양한 커피와 음료를 즐기는 라이프스타일이 확산하고 있다"고 전했다.

 식사, 쇼핑 등을 위해 번화가를 찾는 대신 가능한 한 집 근처에서 해결하는 '홈어라운드 소비' 추세도 뚜렷해졌다.

 자택 반경 500m 이내 편의점 이용 비중은 2019년 상반기 37%에서 올해 상반기 45%로 8% 포인트 증가했다.

 연령대별 자택 반경 500m 이내 편의점 이용 비중은 20대와 30대의 경우 조사 기간 8% 포인트씩 증가했고 40대와 50대, 60대도 모두 7% 포인트씩 늘었다.

 신한카드는 "재택근무 증가와 불필요한 외출 자제로 홈어라운드 소비가 눈에 띄었다"면서 2019년보다 집에서 가까운 인근 편의점 이용도 늘었다"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