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실직 뒤 '건보료 폭탄'?…임의계속가입제도 활용 최대 3년 혜택

2007년 7월 제도 도입…올 9월 현재 수혜자 43만1천842명

 "직장에서 은퇴하거나 실직해서 지역 건강보험에 편입되는 분들의 경우, 소득은 없어졌는데 건보료는 폭증합니다. 이러한 잘못된 부과체계를 반드시 바로잡겠습니다. 아울러 국민의 건보료 부담이 무분별하게 늘어나지 않게 하겠습니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지난 1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이번엔 건보료 폭탄, 집값 폭등이 국민 탓입니까?'라는 제목의 글에서 건강보험료 부과체계를 소득 중심 방향으로 점차 개편해 나가겠다는 의지와 함께 밝힌 내용이다.

 실제로 직장에 다니다가 퇴직하거나 실직으로 직장가입자에서 지역가입자(자영업자, 일용직 등)로 건강보험 자격이 바뀌는 경우 소득은 대폭 줄었는데도 건강보험료가 많이 나와서 울화통을 터뜨리는 사람이 있다.

 이런 일이 생기는 것은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에게 매기는 건보료 부과방식과 부담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건보료는 직장가입자에게는 월급(금융·배당·임대소득이 연간 3천400만원 넘는 고소득 직장인에게는 별도의 월급 외 건보료 추가 부과)에만 부과하지만, 지역가입자에게는 소득뿐 아니라 재산, 자동차에 부과하는 점수를 합산해서 매긴다.

 이 때문에 은퇴나 실직 후 고가의 아파트와 외제 차를 가지고 있으면 보험료 부담이 상당히 높아질 수 있다. 특히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건보료를 반반씩 내지만, 지역가입자는 오롯이 자신이 전액 부담해야 한다.

 이렇게 퇴직·실직으로 고정 소득이 없어지고 지역가입자로 자격이 변경되면서 건보료가 갑자기 올라 한숨짓게 되는 상황을 피할 방법은 없을까.

 24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자제도'를 활용하면 은퇴·실직 후에도 직장가입자 자격을 당분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험료 부담을 덜 수 있다.

 임의계속가입자제도는 퇴직·실직자의 건보료 부담을 줄여 주려는 취지에서 2007년 7월 도입됐다. 직장가입자 제도와는 별개로 운영 중이다.

 이 제도에 가입하려면 몇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먼저 퇴직 이전 18개월 동안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격을 유지한 기간이 통산 1년(365일) 이상이어야 신청할 수 있다.

 또 직장에서 내던 보험료보다 지역보험료가 더 많아야 한다.

 이 두 요건이 충족되면 임의계속가입자 신청을 해 퇴직 전 직장에서 부담하던 수준의 건보료만 내면 된다.

 임의계속가입자의 자격 유지 기간은 애초 1년(12개월)에서 2013년 5월부터 최장 2년(24개월)으로 연장됐고, 2018년 1월부터는 최장 3년(36개월)으로 늘어났다.

 임의계속가입자는 올해 9월 기준으로 19만3천552명에 달한다. 이들에게 얹혀서 보험료를 내지 않고 보험 혜택을 누리는 피부양자 23만8천290명을 포함하면 이 제도의 적용을 받는 수혜자는 43만1천842명에 이른다.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자 현황]

 2021년 9월 기준(단위: 명)

 

구 분 적용인원(A+B) 가입자(A) 피부양자(B)
가입자 수 431,842 193,552 238,290

 

 임의계속가입 적용을 받으려면 퇴직 후 지역가입자가 된 후 최초로 받은 지역보험료 고지서 납부기한으로부터 2개월 이내에 건보공단에 직접 방문이나 팩스 또는 우편으로 신청해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