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식당이 업무만족도 최저…노동강도 가장 높아"

음식서비스 인적자원개발위원회, 외식산업 종사자 설문조사

 외식업종 중 일식 음식점 근무자들이 노동강도는 가장 높다고 느끼고 업무 만족도는 가장 낮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외식업중앙회 등 16개 협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음식서비스 인적자원개발위원회(ISC)'는 8일 '국내 외식산업 인력 관련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위원회는 지난달 11∼12일 외식산업 종사자(직원) 160명을 대상으로 근무환경에 관한 설문조사를 했다.

 자신이 느끼는 노동강도를 5점 척도(숫자가 높을수록 노동강도도 높음)로 평가하게 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평균 점수는 3.59점으로 다소 높았다.

 반면 업무 만족도는 평균 2.50점으로 대다수 직원이 업무에 크게 만족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점에 가까울수록 업무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업종별로 보면 일식 음식점 근무자들의 노동강도 평균 점수가 3.76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양식 및 기타 외국식 음식점업(3.65점), 한식 음식점업(3.61점), 카페 등 비알콜 음료점업(3.60점), 피자·햄버거 식당 등 기타 간이 음식점업(3.57점) 등의 순이었다.

 업무 만족도는 비알콜 음료점업 직원이 3.4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주점업(3.00점), 한식 음식점업(2.82점), 기타 간이음식점업(2.78점) 등의 순이었다. 일식 음식점은 2.02점으로 업무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일·생활 균형 정도는 비알콜 음료점업이 2.80점으로 가장 높고 기타 간이음식점업이 2.429점으로 가장 낮았다.

 담당 업무별 노동강도는 운영관리(4.00점), 주방(3.44점), 홀서비스(3.37점) 순으로 높았으며 만족도는 주방(2.55점), 홀서비스(2.47점), 운영관리(2.46점) 순으로 높았다.

 일·생활 균형정도는 주방(2.85점), 운영관리(2.62점), 홀서비스(2.60점) 순으로 높게 조사됐다.

 위원회는 조사 결과에 대해 "외식산업 직원들은 노동강도는 높고, 업무 만족도는 낮고, 일·생활 균형은 이뤄지지 않는다고 본다"고 분석하면서 "이런 인식을 개선해 내국인 인력 채용을 활성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