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감염병 대응 등 보건의료 R&D에 1조4천687억원 투입

복지부·질병청 등 5개 부처, 코로나19 백신·신약·인력양성 등 지원

 정부가 내년에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 등을 위한 보건의료 연구개발(R&D)에 1조4천687억원을 투입한다.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가 23일 5차 회의를 열고 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 5개 부처·청의 내년도 보건의료 R&D 예산을 통합 심의했다고 밝혔다.

 내년도 예산은 전년보다 1천402억원 증액된 규모로, 정부 R&D 예산 총액 29조7천770억원의 4.9%를 차지한다.

 정부는 ▲ 감염병 위기대응 역량 강화(3천582억원) ▲ 바이오헬스 분야 첨단 유망기술 육성(7천899억원) ▲ 공익적 R&D 투자 확대(2천139억원) ▲ 의료현장 연계 R&D 지원(1천67억원)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112개 신규과제에 1천854억원, 기존과제에 1조2천833억원을 각각 지원한다.

 감염병 분야에서는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과 임상시험 성공률 제고를 위한 전임상·임상 단계 연구에 976억원을 지원한다.

 또 신·변종 감염병(Disease-X)에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mRNA, 나노 파티클(NP), 합성항원 등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고, 변이가 잦은 바이러스에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백신 연구 등에 1천169억원을 쓴다.

 바이오헬스 분야에서는 희귀·난치질환자의 치료 기회 확대, 재생의료 전주기 연구개발 지원과 임상연구에 936억원을 지원한다.

 정부는 신약, 의료기기,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첨단 유망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기초, 중개·임상, 제품화 및 인허가까지 전 주기에 걸쳐 범부처 공동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공익적 R&D와 관련해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는 혈액 부족, 건강 격차, 취약계층 돌봄, 비대면 진료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보고 관련 기술 개발에 701억원을 지원한다.

 정신건강, 치매, 암, 미세먼지 등 고부담·난치성 질환 관련 연구를 돕고 의사 과학자(의사이면서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자), 규제과학 전문가 등 바이오헬스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집중적으로 양성하는 데에도 예산을 지원한다.

 내년도 보건의료 R&D 사업은 올해 말에 부처별로 통합 시행계획 공고를 거쳐 내년 초부터 시행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