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유전병은 다수의 '흔한 변이' 조합으로 생긴다

'희소 변이' 영향 제한적→ 소수의 유전병에만 큰 영향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논문

 유전적 요인은 생활 양식(lifestyle)이나 환경 못지않게 비 감염 질환의 원인이 된다.

 암은 물론이고 심혈관 질환, 염증 질환 등에 걸릴 개인별 위험이 이런 요인들에 의해 많이 달라진다.

 유전역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질병 등의 '유전 가능성'(heritability)을 연구해 왔다.

 다시 말하면 부모의 특정 성향이 유전자를 통해 자녀에게 전해지는 정도와 범위를 탐구해온 것이다.

 극적인 돌파구를 연 게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GWAS) 기술이다.

 이 기술이 등장한 이후 일반적 질병이나 건강 관련 성향에 관여하는 수천 종의 유전자 변이가 짧은 기간에 확인됐다.

 최근의 DNA 분석기술은 인간의 유전체에서 변이가 생긴 위치를 개인별로 확인하는 수준까지 발전했다.

 지금까지 유전적 변이의 압도적 다수는 소수의 사람에게 드물게 생기는 것이고, 어떤 경우엔 특정 집단에 국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대부분의 유전병은, 작용 범위가 넓지 않은 다수의 흔한 유전자 변이가 조합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반대로 희소한 유전자 변이는 해당하는 소수의 사람에게만 질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유전자 연구가 유전자의 질병 유발 효과를 상당히 많이 간과했을 수 있다는 뜻이다.

 스웨덴 웁살라대 과학자들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으로 실렸다.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올라온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이번 연구의 코호트(cohort·같은 특성을 가진 집단)는 1천여 명의 스웨덴 주민으로 구성됐다.

 연구팀은 고성능 차대세 시퀀싱(염기서열 분석) 기술로 어떤 유전자 변이가 생겼는지 먼저 알아봤다.

 그런 다음 변이 유전자 코드로 생성된 단백질의 매개로 어떤 기능적 문제가 생겼는지 조사했다.

 유전자가 질병 위험에 미치는 영향은, 해당 유전자 코드로 생성되는 단백질의 작용으로 생긴다.

 따라서 유전자 발현 도가 단백질 수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규명하는 건 유전적 변이가 어떻게 질병을 일으키는지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모두 414개 유형의 혈장 단백질을 검사했는데 다수가 변이 유전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런데 희소한 변이가 단백질체(proteomeㆍ단백질 유전정보)에 미치는 '표현형 효과'(phenotypic effect)는 흔한 변이보다 분명히 컸다.

 하지만 희소한 변이만 갖고는 질병의 유전 가능성에 대해 많은 부분을 설명하지 못했다.

 희소 변이의 효과를 잡아내기 위해 따로 개발한 통계학적 모델을 돌려봐도 유전병과의 연관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흔한 유전적 변이와 극명히 대조되는 부분이었다.

 유전적 변이로 생기는 질병뿐 아니라 단백질체의 유전 가능성도 흔한 변이에서 더 많이 비롯됐다.

 그러나 개인 차원에서 보면 드문 변이가 질병에 미치는 영향이 여전히 컸다.

 흔한 유전적 변이로 질병에 걸리는 사람이 훨씬 더 많지만, 적기는 해도 희소 변이로 질병 위험이 커지는 사람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논문의 교신저자인 오사 요한슨 면역학과 교수는 "유전적 질병 위험이 현저히 높은 사람을 효과적으로 진단하는 데 고성능 시퀀싱 기술이 매우 유용하다"라면서 "이는 정밀한 개인 맞춤형 치료와 잘 맞을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