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경구 흡수 강화제 '엔서퀴다', 길리어드에 기술 수출

한미·HHP, '엔서퀴다' 독점권 길리어드에 부여…공급 파트너십

 한미약품은 경구 흡수 강화제 '엔서퀴다(Encequidar)'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한 독점 권리를 미국 길리어드사이언스에 부여하는 글로벌 기술이전 계약을 길리어드, 홍콩 헬스호프파마(HHP)와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엔서퀴다는 기존 주사제를 경구 제형으로 전환할 수 있는 한미의 혁신적 약물 전달 기술 '오라스커버리(Orascovery™)'를 통해 한미가 최초 개발했다.

 HHP는 지난 6월부터 미국·홍콩·뉴질랜드에서 엔서퀴다를 적용한 경구용 항암제 '오락솔' 임상을 진행 중이며, 유럽과 아시아, 미국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이다.

 앞서 한미약품은 2011년 오락솔을 미국 아테넥스(Athenex)에 기술 수출했지만 아테넥스의 파산으로 해당 권리가 HHP 등으로 이전됐다.

 HHP 설립자인 데니스 람 박사는 "이번 계약은 엔서퀴다가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P-gp 억제제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주사제의 경구제 전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이번 성과를 발판 삼아 오락솔 개발을 한층 가속화하고, 엔서퀴다의 경구 제형 적용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이사는 "이번 계약은 한미약품의 제제 기술력과 연구개발 역량을 글로벌 시장에서 입증한 중요한 성과"라며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환자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혁신 성과를 더욱 가속화하는 성장 기회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생아에 치명적인 장 천공 조기에 찾는 AI 모델 개발"
인공지능(AI) 기술로 엑스레이(X-ray) 영상을 분석해 신생아의 장 천공 여부를 판별하는 모델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영상의학과 윤희망·융합의학과 김남국·신생아과 이병섭 교수팀은 최근 AI로 신생아의 장 천공 여부를 판단하는 판독 모델을 개발했다. 신생아 장 천공은 괴사성 장염 등으로 장에 구멍이 생겨 생명까지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그러나 신생아 중환자실 특성상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즉시 판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오진이나 진단 지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컸다. 또 천공 진단을 위해 엑스레이 검사로 복강 내 공기가 차 있는지 확인하는데, 통상 영상에서 장 천공 여부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정확한 판독이 쉽지 않았다. 기존에 AI 판독 모델이 있었으나 이는 성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개발됐기 때문에 신생아에게 적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신생아 엑스레이 영상을 이용해 장 천공 여부를 분류하면서 복강 내 공기가 차 있는 영역까지 함께 학습해서 표시해 주는 학습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1995년 1월∼2018년 8월 서울아산병원 소아 엑스레이 영상 약 260만건을 수집했고, 최종적으로 장 천공 영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