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에 있던 세균이 어떻게 다른 기관에 질병을 일으킬까

'새는 장' 가설, 장 세균의 '숙주 내 진화' 현상으로 설명
미국 예일대 연구진, 저널 '네이처'에 논문

 장(腸)의 미생물 중에는 건강에 이로운 종도 있지만, 질병을 일으키는 것도 없지 않다.

 장 세균이 관여하는 병은 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장 질환, 대사 증후군, 신경정신 질환 등 의외로 많다.

 이른바 '새는 장'(leaky gut) 가설은 장 세균의 질병 유발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틀로 널리 알려졌다.

 해로운 세균이 장을 벗어나 갖가지 질병으로 이어지는 만성 염증 반응을 촉발한다는 게 이 가설의 핵심이다.

 그동안 풀리지 않았던 미스터리는 따로 있다.

 어떻게 해서 장을 탈출한 병원성 세균이 수십 년간 숨어 지내느냐 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런 세균은 사람의 몸 안에 오래 머물면서 건강에 아무런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마침내 의학계의 이런 해묵은 의문을 풀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숙주 내 진화'(within-host evolution) 현상을 틀로 삼아 어떻게 장 세균이 다른 기관에 질병을 일으키는지 설명했다.

 장 세균이 장기간의 진화를 거쳐 장의 방어벽을 넘어가는 능력을 갖추면 병원성이 더 강한, 다시 말해 질병을 일으킬 위험이 더 큰 세균으로 변한다는 게 요지다.

 이런 세균은 장 밖의 다른 기관으로 이동한 뒤 면역계 감시망을 피해 숨어 있다가 만성 염증과 여러 가지 관련 질병을 일으켰다.

 미국 예일대 의대의 노아 팜 면역학 부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저널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연구팀은 장 미생물이 아예 없는 무균(germ-free) 생쥐 모델에 잠재적 병원성을 가진 세균 한 종을 감염시켰다.

 시간이 지나자 세균은 확연히 구분되는 두 개의 그룹으로 갈라졌다.

 한 그룹은 원래의 세균 종과 비슷하게 행동했다.

 하지만 미세한 DNA 돌연변이가 생긴 다른 그룹은 장의 내벽 상피에서 주로 발견됐고, 장을 벗 어난 뒤엔 림프절과 간에서도 오래 살았다.

 림프절과 간에 생긴 소규모 세균 콜로니(colonyㆍ菌落)는 기존의 병원체와 달리 반 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면역계의 감시를 피했다.

 하지만 이들 콜로니가 계속 잠행 모드로 가지는 않았고 결국엔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염증성 이상 증세를 일으켰다.

 이런 유형의 잠재적 병원성 세균에 감염되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나이가 들면서 질병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세균의 병원성이 강해지게 부추기는 요인으론 '숙주 내 진화'가 지목됐다.

 인간이 평생 살아가는 동안 장에 공생하는 세균이 환경 변화에 적응하고 진화하는 이유도 이 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연구팀은 '숙주 내 진화' 곡선에 변곡점을 만드는 환경적 요인이 세균의 질병 촉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예컨대 건강에 좋은 음식을 꾸준히 섭취하면 장 미생물 총의 다양성이 높아지고 공간과 영양분 등을 더 많이 차지하려는 세균 종간의 경쟁이 치열해진다고 한다.

 그 결과 특정 균락의 크기가 제한되고 잠재적 병원성 세균 종이 진화해 장을 탈출할 확률도 낮아진다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장 미생물 총의 구성이 다양하지 못하면 해로운 세균 변종이 생길 위험은 커질 수 있다.

 팜 교수는 "세균이 장 밖의 기관에 오래 머물려면 미리 적응 과정을 거쳐야 한다"라면서 "비병원성 세균 종의 우선적 전염(preferential transmission) 때문에 숙주가 바뀔 때마다 진화 과정이 다시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여튼 장에서 세균의 행동 패턴이 구체화할 때 '숙주 내 진화'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하는 게 새로운 치료법 개발의 열쇠라고 팜 교수는 강조했다.

 이 과정을 제한하거나 진행 방향을 돌릴 수 있으면, 다양한 '새는 장' 관련 질환의 발생도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