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체중 중고생 39.3% "난 뚱뚱해"…뼈 보이는 앙상한 몸 동경

91% 체중조절 해봤다…신체이미지 왜곡, 여학생이 더 심해
"학교에서의 상담·교육 등 제도적 뒷받침 필요"

  청소년들 사이에 '마를수록 예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정상체중인 청소년 중 40%가량이 자신을 '뚱뚱하다'고 여기는 등 자신의 신체에 대해 왜곡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칙적인 운동이나 식사량을 줄이는 등의 정상적인 체중 감량 방법 이외에도 단식, 원푸드 식이요법, 살 빼는 약 복용 등의 방법을 택하는 경우도 많아 긍정적인 신체이미지 형성을 위한 상담,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보건협회 학술지 '대한보건연구'에 게재된 '우리나라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인식 및 체중조절행위의 영향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중고등학생 2만9천282명을 대상으로 한 청소년건강행태조사 결과 실제 체중이 정상체중임에도 자신이 뚱뚱하다고 인식하는 청소년이 39.3%였다.

 남녀로 구분해보면 여학생의 41.4%, 남학생의 37.0%가 실제보다 자신을 더 뚱뚱하다고 인식하고 있어 여학생의 신체이미지 왜곡현상이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저체중인 학생 중 자신이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10.5%였고, 심지어 '뚱뚱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2.9%였다.

 최근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는 날씬함을 넘어 뼈가 보일 정도로 앙상한 몸을 동경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뼈말라 인간'이라는 신조어가 나올 정도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중 90.8%(2만6천604명)는 운동, 식사량 줄이기 등 '건강한 체중조절'을 해봤다고 답했다.

 문제는 건강하지 않거나 극단적인 체중조절 시도도 적지 않았다는 점이다.

 분석 결과 여학생의 4.3%는 의사의 처방전 없이 살 빼는 약을 먹어봤다는 결과가 나왔다. 남학생 중에서도 1.5%가 살 빼는 약을 복용한 적이 있었다.

 과체중인 여학생의 7.8%, 정상체중인 여학생 중에는 4.0%가 처방전 없이 약을 먹어봤다고 답했고, 저체중인 여학생 중에서도 1.6%가 이러한 약을 복용해봤다고 답했다.

 체중 조절을 위해 설사약·이뇨제를 복용했다는 비율은 남학생 1.2%, 여학생 1.7%였고 음식을 섭취한 뒤 일부러 구토를 해봤다는 응답도 각각 1.6%, 2.7%였다.

 또 여학생의 경우 단식 경험률이 13.0%, 한 가지 음식만 먹는 '원푸드 식이요법'이 10.3%로 나타나 건강하지 않은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가 남학생(7.5%, 4.6%)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대상 학생들의 체질량지수에 의한 실제 체중 상태는 중학생의 경우 남학생은 저체중이 4.8%, 정상체중이 79.3%, 과체중이 15.8%였고 여학생은 저체중이 5.3%, 정상체중이 80.0%, 과체중이 14.7%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은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의 비율이 남학생 4.9%, 80.1%, 15.1%였고 여학생은 4.6%, 79.9%, 15.5%였다.

 보고서는 "체중조절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인 요인은 성별, 학급,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신체이미지, 슬픔·절망감 등으로 분석됐다"며 "학생들이 자신의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왜곡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학교에서의 상담·교육프로그램이 개발·실천돼야 한다.

 또 청소년들이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고 적절한 신체활동을 통해 적정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건정책의 뒷받침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 낙후지역에서도 자궁경부암 손쉽게 진단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이 의료낙후지역에서도 자궁경부암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를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창열 박사팀과 미국 하버드 의대 이학호 교수팀은 인체유두종 바이러스(HPV)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현장 진단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피부 접촉 등을 통해 감염되는 HPV는 여성의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진단에는 세포 검사, 아세트산 시각검사, 유전자증폭(PCR) 검사 등이 활용된다. 기존 진단법은 전문 의료시설이 필요해 의료환경이 열악한 중·저소득 국가나 지역에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유전자가위 기반의 핵산 검출 기술과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을 융합, 고감도로 HPV를 진단할 수 있는 휴대용 플랫폼을 개발했다. 한 번에 최대 12개의 시료를 35분 안에 분석할 수 있으며, 진단 시약도 고형화해 현장 운송과 보관이 쉽다. 이번에 개발한 플랫폼을 통해 임상 시료 169개를 정확히 분석,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였다. 이창열 박사는 "우간다와 가나에서 현지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열악한 의료 환경에 놓인 국가나 지역의 의료 소외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학호 교수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