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꽃창포'서 피부 미백 효능 확인…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특허 출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 담수식물 '노랑꽃창포'에 피부 미백 효능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노랑꽃창포 추출물을 멜라닌을 형성하도록 처리된 흑색종 세포에 투여하는 실험을 한 결과 추출물 농도에 따라 멜라닌 형성이 저해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실험에서 100㎍/1mL 농도 추출물은 멜라닌 형성을 24.2% 줄였다.

 노랑꽃창포 추출물이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티로시나아제' 발현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멜라닌이 덜 형성되게 하는 것으로 연구진은 분석했다.

 피부세포에서 합성되는 멜라닌은 피부색을 결정한다. 자외선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는 것을 막아 피부를 보호하지만, 과도하게 축적되면 기미나 주근깨를 만든다.

 연구진은 이번 실험 결과를 토대로 특허를 출원했다.

 연구진은 노랑꽃창포 추출물 가운데 멜라닌 형성을 저해하는 유효물질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혁신 신약 개발 플랫폼 '프로탁'이용,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 개발
국내 연구진이 혁신적인 신약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는 '프로탁'을 이용해 난치성 유방암 치료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심만규 선임연구원과 건국대 박주호 교수 연구팀이 난치성 유방암인 삼중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 치료제 '나노탁'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나노탁은 프로탁과 나노 의약을 합친 말이다. 프로탁은 질병을 유발하는 표적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로, 최근 임상에서 높은 효과를 보이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암세포나 암 관련 유전자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암종에서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빛을 쪼여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광역학 치료가 면역반응을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삼중음성 유방암 같은 고형암의 저산소 환경에서는 치료 효과가 떨어진다. 연구팀은 프로탁과 암 조직 내 면역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감각제(빛에 반응하는 약물)를 결합해 암 조직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나노 치료제를 개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탁을 삼중음성 유방암 동물 모델에 투여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