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에 숨겼던 입 냄새…"이젠 어떡해?"

 실내 마스크가 해제되면서 걱정거리가 생긴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입 냄새를 가진 이들이죠.

 그간 코로나19 방역수칙에 따라 마스크를 쓰면서 입 냄새를 숨길 수 있었지만 이제 더는 감출 수 없게 된 거죠.

 입 냄새는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우선 입 냄새의 원인을 알아야 합니다.

 입 냄새의 80%는 구강 문제로 발생하는데요.

 구강 내 특정 세균이 음식물, 치석과 반응해 생성된 악취성 기체로 인해 입 냄새가 나게 되는 겁니다.

 치아에 치태, 치석이 쌓여 염증이 있는 환자의 경우 입 냄새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입 냄새는 구강 외 부위에서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비염, 축농증 환자는 입 안이 마르면서 구취가 생기기 쉽습니다.

 소화기 질환도 입 냄새를 유발하는데요.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경우 음식물이 역류하면서 세균이 증식해 입 냄새가 날 수 있죠.

 이외에도 신부전, 간경변 등 다양한 질환이 입 냄새를 유발합니다.

 그렇다면 입 냄새는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양손을 모아 숨을 뱉거나, 손등에 침을 묻혀서 냄새를 맡아봅니다.

 플라스틱 스푼이나 설압자로 혀의 뒷부분을 긁어 냄새를 확인할 수도 있죠.

 입 냄새는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이효정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치과(치주과) 교수는 양치를 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규칙적으로 스케일링을 하고 스크레이퍼(혀를 긁는 기구)로 목에 가까운 쪽 혀를 치약을 묻히기 전 피가 나지 않을 정도로 닦아주면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물을 자주 섭취하고, 너무 달지 않은 과일과 물기가 많은 섬유질 채소를 먹는 게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구강 문제로 입 냄새가 날 경우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일단 치석이나 치태가 있는지 확인하고, 충치나 잇몸 질환이 있는지 검진해야 합니다.

 또 타액 분비량을 측정해 구강 건조감이 심한 경우 타액 성분과 비슷한 스프레이를 처방받고, 건조감을 방지하는 연고나 타액이 조금씩 나오게 하는 패치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박혜지 강동경희대치과병원 구강내과 임상교수는 "예방을 잘했는데도 계속 구취가 난다면 치과뿐만 아니라 이비인후과를 찾고, 소화기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병원 내원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고 조언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15곳 이달말 같은기간 간호사 신규채용면접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15곳이 이달 말 같은 기간에 신규 간호사 채용 면접을 진행한다. 대한간호협회는 수도권 상급종합병원 23곳을 대상으로 9월 넷째 주 '동기간 면접제' 참여 여부를 조사했더니 15곳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 참여 병원은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고려대 안암병원, 분당서울대병원 등이다. 동기간 면접제는 여러 병원이 간호사 최종면접을 동일한 기간에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다. 간호사들의 대기 문제나 수급난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해부터 시범사업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그간 일부 대형병원은 간호사들의 갑작스러운 사직에 따른 인력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규 간호사를 일시에 채용한 후 필요시에 순차적으로 발령하는 대기 순번제 방식을 운영해 왔다. 그러다 보니 합격 후 최장 1년까지 '대기 간호사' 상태로 지내면서 대기 기간에 대한 불안감이나 채용 후 임상 부적응을 호소하는 사례가 발생했다. 또 중소병원들의 경우 간호사가 대형병원으로 갑자기 이직하면서 인력난을 겪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미 서울 시내 대형병원 5곳은 2019년부터 자체 협약에 따라 동기간 면접제를 시행해왔는데 정부는 이를 확대해 2024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