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85%, 경제위기로 스트레스…코로나 영향보다 커"

 경기도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3고(高) 경제위기로 스트레스가 높아졌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1~12월 도민 1천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위기상황에서의 취약계층 정신건강 실태 및 정책적 대응 방안' 보고서를 9일 발간했다.

 조사 결과 3고로 인해 스트레스가 늘었다는 응답자가 84.5%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19로 스트레스가 늘었다는 응답률 72.3%보다 12.2%포인트 높다.

 우울증 심각도(PHQ-9 척도: 0~27점)에서는 '우울증에 해당된다'가 2021년 3월 조사 때 16.5%에서 56.8%로 증가했다.

 가구 특성별로는 기초생활수급 가구가 비수급 가구보다, 가구 형태별로는 1인 가구가 다인 가구보다 우울 수준이 높게 나왔다.

 특히 3고 경제문제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우울증 점수도 일관되게 높아졌다.

 '스트레스를 매우 받는다'는 응답자의 우울증 점수는 8.20점(가벼운 우울증)으로 '스트레스 전혀 받지 않는다'는 응답자의 2.42점(우울증 아님)과 차이를 보였다.

 이에 연구원은 ▲ 위기 특성에 맞는 취약계층 선별 대책 및 사각지대 발굴 ▲ 위기상황 종료 후 자살률 증가에 대비한 선제 대응 ▲ 상담센터와 행정복지센터 연계 서비스 강화 ▲ 정확한 정신건강 수준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 조사 등을 제시했다.

 유정균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정신건강 문제는 코로나19와 경제적 어려움이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 요인들을 점검해 맞춤형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