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30729/art_16895715970782_ade1b2.jpg)
몸 속 염증 증가가 우울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함병주·한규만 교수, 건국대학교 신찬영 교수, 한동대학교 안태진 교수 공동연구팀은 우울증에 걸린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연구진은 우울증과 유사한 행동 유형을 보이는 동물에서 염증 조절 경로 관련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19세∼64세 우울증 환자 350명과 정상 대조군 161명의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해 유전자의 변화를 관찰했다.
그 결과 동물 실험과 유사하게 우울증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염증 조절 관련 유전자의 발현 수준이 높았다.
염증 유전자의 DNA 메틸화 정도가 증가할수록 전두엽 부위의 대뇌 피질 두께도 얇았다.
연구진은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이 우울증과 뇌의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며 "유전자 검사를 통해 우울증 발병 위험이 높은 사람을 조기에 발견해 예방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정신면역연구학회 저널인 '뇌·행동·면역(Brain, Behavior, and Immunit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