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의 뇌 영역 '고삐핵'에서 우울증 완화하는 화학물질 분비"

고려대 의대 해부학교실 김현 교수팀 연구

 미지의 뇌 영역 '고삐핵'에서 나오는 미량의 유기화합물 '아민'이 우울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삐핵은 뇌 시상상부 부위에 위치해 신경신호 전달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나오며 치료제 개발 등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다.

 3일 고려대학교 의료원에 따르면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김현 교수팀은 스트레스 기반 우울증 동물모델 고삐핵에서 감소한 AADC 유전자 발현을 회복시킨 결과 우울증이 완화된 것을 확인했다.

 통상 AADC로 불리는 방향성 L-아미노산 탈탄산효소는 뇌 속 신경전달물질의 생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ADC 유전자는 이 효소를 생성해낸다.

 그 결과 AADC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면 쥐에게 우울 증상이 나타나고, 발현이 회복되면 우울증상도 완화됐다.

 연구진은 외측 고삐핵의 '글루탐산성 신경세포'가 활성화돼 도파민 분비를 억제하게 되면 이로 인해 우울 증세가 나타나는데, AADC가 만들어내는 유기화합물 아민이 글루탐산성 신경세포 활성화 효과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일상적인 정도의 스트레스로는 고삐핵에서 나오는 아민의 신호전달계에 문제가 없지만,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글루탐산성 신호전달이 아민의 신호전달보다 우세해지며 우울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고삐핵 아민 시스템에 대한 발견으로 우울증 예방과 치료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김현 교수는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문의 아닌 PA 중심 병원?…의사는 반발, 간호사는 제도화 요구
정부가 '전문인력 중심 병원'으로의 전환을 선포했지만 전문의 구인난을 겪는 병원들에선 'PA(Physician Assistant·진료지원) 간호사 중심 병원'이 될 것이라는 우려와 반발이 나온다. 간호사들은 병원과 정부가 법적 근거·보상 없이 업무를 떠넘겼다며 제도화가 시급하다는 입장이고, 의사들은 PA 제도화가 국민 건강을 위협한다고 반발한다. 환자들은 환자들대로 급격한 제도 도입에 따른 안전을 우려하고 있다. ◇ 병원들 "'PA 중심 병원' 될 듯…제대로 된 의료개혁 맞나" 11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정부는 수련병원 전공의 의존도를 낮춰 전문인력 중심 병원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의 주요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6일 의료개혁 추진상황 브리핑에서 "전문의와 진료지원간호사 등 숙련된 전문인력 중심으로 운영되는 병원으로의 전환"을 강조하며 "전공의가 담당했던 업무를 이들이 담당하도록 병원 자체 훈련을 도입하고 업무 효율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전문의와 PA 간호사가 '원팀'으로 일하는 구조로 바꾸겠다고 했지만, 상급종합병원들의 만성적인 전문의 구인난과 인건비를 고려하면 결국 PA 간호사가 대거 투입돼 전공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나도 우울증일까'…마음건강 자가검진, 카톡으로 손쉽게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누구나 휴대전화로 손쉽게 우울증 자가검진을 할 수 있게 됐다. 보건복지부는 국립정신건강센터와 카카오헬스케어 간 협업으로 마련한 '마음건강 챗봇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지난해 12월 발표한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과 올해 3월 국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마음건강 서비스 제안에 따른 후속 조치로 마련됐다. 마음건강 자가검진을 받으려면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카카오톡 채널을 추가한 뒤 안내에 따라 '우울증 자가검진' 메뉴로 들어가면 된다. 자신의 성별, 연령대, 사는 지역을 입력한 후 자가검진을 실시할 수 있고, 결과에 따라 가까운 정신건강상담센터, 자살예방센터 등 관련기관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 국가정신건강정보포털 홈페이지로 이동해 더 구체적인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별도 이용료 없이 제공된다.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우울증 자가검진은 현재 국가건강검진에서 활용하는 것과 동일한 우울증 검진도구(PHQ-9)이다. 정부는 향후 불안증과 같은 다른 정신건강질환과 관련한 검진 도구도 순차적으로 추가할 예정이다. 박민수 복지부 2차관은 "고혈압 관리를 위해 혈압을 체크하고 당뇨 관리를 위해 혈당을 수시로 점검하듯, 마음건강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