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 "AI로 유방암 치료 예측 정확도 향상"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328130]의 AI 바이오마커(생체 표지자) '루닛 스코프 IO'가 유방암 환자의 치료 반응 예측 정확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루닛이 21일 밝혔다.

 과학 학술지 네이처의 자매지 'NPJ 유방암'(NPJ Breast Cancer)에 실린 이번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예후와 치료 반응 예측 척도 중 하나인 기질종양침윤림프구(sTIL)를 전문의가 분석한 결과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를 비교했다.

 우선 유방암 환자 슬라이드 이미지 402장을 전문의 3명이 분석한 sTIL 평균 점수와 루닛 스코프 IO가 분석한 점수를 비교해보니 10% 포인트 이상 차이 난 경우가 226건(56.2%)이었다.

 이어 전문의들이 루닛 스코프 IO의 결과 화면을 이용해 해당 슬라이드를 재판독했더니 전문의 분석과 루닛 스코프 IO의 10%포인트 이상 의견 불일치가 116건(28.9%)으로 감소했다고 루닛은 전했다.

 루닛은 또 병리과 전문의가 루닛 스코프 IO를 활용해 sTIL을 판독한 경우 sTIL이 높은 환자군에서 선행화학요법 후 암세포가 사라지는 관해를 달성할 확률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며 루닛 스코프 IO가 항암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