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장기이식 대기 중에 사망한 사람이 3천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혜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보건복지부에서 받은 '장기이식 현황' 자료에 따르면 장기이식을 기다리다가 숨진 사람은 2013년 1천152명에서 작년 2천918명으로 늘었다.
장기 이식을 애타게 희망하는 사람이 늘고 있지만, 기증자 수는 제자리걸음을 하면서 대기 중 사망자 수가 9년 사이 2.5배로 늘어난 것이다.
장기이식 대기자 수는 2013년 2만6천36명에서 작년 4만9천765명으로 91.1% 증가했지만, 뇌사 기증자수는 2013년과 작년 각각 416명과 405명으로 비슷했다.
이식 대기 중 사망자가 이식을 기다리던 장기 중에서는 콩팥(신장)이 가장 많았다. 이런 사례가 작년 1천506명 있었는데, 이는 사망자(2천918명)의 절반에 육박한다. 2013년 350명에 비해 4배가량 늘었다.
전 의원은 "(뇌사)장기기증이 줄어든 이유로는 사회적인 예우가 부족하다는 점이 꼽힌다"며 "지난 2017년에는 장기기증자의 시신 수습과 이송 비용을 유족이 부담한 일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장기기증은 숭고한 헌신의 정신이 깃든 행위"라며 "장기기증자와 유족에 대한 예우를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기증자의 숭고한 희생을 기릴 추모 공원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