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새 마약류중독 진료비 18% 증가…불면·다이어트 때문

의약품 중독 환자는 0.7% 줄었지만 진료비 42% 급증

  불면증 치료나 다이어트 목적으로 향정신성의약품을 처방받는 사례가 늘면서 최근 수년 새 마약류 중독 환자 진료비가 크게 늘어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6일 '세계 마약 퇴치의 날'을 맞아 이런 내용이 담긴 2019∼2023년 마약류·의약품 중독 진료현황을 공개했다.

 이 기간 질병 분류상 '정신활성물질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 장애'에 관련된 마약류 중독 환자는 6천508명에서 6천599명으로 1.4% 늘었다.

 진료비는 53억3천만원에서 62억8천만원으로 17.8% 증가했다.

 성별로 나눠 보면 남성 환자 수는 4.6%, 이들의 연간 총진료비는 20.8% 늘었다.

 여성 환자는 0.8% 감소했으나, 연간 총진료비는 15.9% 증가했다.

 마약류 중독의 세부 상병별 청구 현황을 보면 '여러 약물 사용 및 기타 정신활성물질의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41.1%), '진정제 또는 수면제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29.8%)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만 봤을 때 연령별 마약류 중독 관련 건강보험 청구 건수는 20대(22.8%), 30대(21.2%), 40대(16.0%) 순으로 많았다.

 전신 항생제 등 마약류가 아닌 의약품 중독의 경우 같은 기간 환자 수는 0.7% 감소했지만, 진료비는 42.1% 급증했다.

 이 가운데 남성 환자 수는 9.2% 줄었으나, 연간 총진료비는 37.5% 증가했다.

 여성 환자 수와 연간 총진료비는 각각 3.9%, 44.9% 증가했다.

 지난해 의약품 중독을 세부 상병별로 나눴을 때 청구 건수는 '이뇨제 및 기타 상세 불명의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41.0%), '항뇌전증제, 진정제-수면제 및 항파킨슨제에 의한 중독'(28.6%) 순으로 많았다.

 함명일 심평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장은 "불면증과 다이어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 등을 목적으로 처방받는 향정신성의약품에 대해 전문가와 상담하고 오남용을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