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수도권 쏠림 '심각'…전체 정원의 60% 이상 차지

1만명당 전공의 수, 서울이 경북의 10배

 종합병원 등에서 수련받는 전공의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당 전공의 수는 서울이 경북의 10배에 달할 정도로 지역 간 격차가 컸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신현영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2023년 23개 진료과목(결핵과, 예방의학과 제외) 전공의 모집 정원 중 61.6%가 서울과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서울이 39.28%를 차지했고, 경기 17.91%, 부산 7.55%, 대구 6.38%, 인천 4.21% 등이었다. 울산, 전남, 경북, 제주 등은 1% 수준으로 극히 낮았다.

 수도권 전공의 비중이 가장 높은 과는 진단검사의학과(71.3%)였고, 다음이 방사선종양학과(69.8%), 영상의학과(66.7%), 산부인과(65.8%), 피부과(65.1%) 등이었다.

 대전(9.298명), 대구(9.137명). 부산(7.758명), 광주(7.177명) 등 광역시는 높은 편이었지만, 전남(2.059명), 경남(3.327명). 충북(3.348명) 등 도 지역은 낮았다. 광역시 중 울산(3.276명)만 낮은 편에 속했다.

 신 의원은 "수도권 의대와 지역 의대 졸업자 수 비율이 4:6 수준인데, 전공의 정원은 반대로 6:4 수준"이라며 "지역의대 졸업자가 이탈 없이 지역에서 전공의 수련을 받고 지역 의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역의 전공의 수련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다만 수도권에 집중된 수련체계를 급격히 바꾸면 수도권 의료기관에는 의사 인력난이 발생하고, 지역 의료기관은 적절한 수련체계를 제때 갖추지 못하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공의 수도권 쏠림 '심각'…전체 정원의 60% 이상 차지 - 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식물 뿌리가 중력 방향으로 굽어 내려가는 원리 찾았다"
식물 뿌리는 중력 방향으로 자라는 중력굴성(gravitropism)을 보이는 것은 '옥신'(auxin)이라는 호르몬이 특정 유전자를 활성화해 뿌리 세포 아랫부분과 윗부분의 세포벽 성장 차이를 유발해 뿌리가 중력 쪽으로 굽게 만들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노팅엄대 라훌 보살레 교수팀과 중국 상하이교통대 황궈창 교수팀은 최근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서 식물 호르몬인 옥신이 어떻게 뿌리가 중력 방향으로 굽어 내려가도록 작용하는지 실험으로 규명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식물 뿌리의 각도는 뿌리 시스템의 핵심적 특징이며 식물과 환경이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접점으로 주로 중력굴성에 의해 결정된다. 중력굴성은 중력에 반응해 뿌리 윗부분과 아랫부분 세포가 서로 다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연구팀은 옥신이 매개하는 뿌리의 중력굴성이 뿌리의 각도를 결정하는 핵심 과정으로, 옥신 반응 인자(ARFs)에 의해 조절되지만, 이들이 작동하는 구체적인 대상과 기능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벼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뿌리 중력굴성이 나타나는 과정에 옥신과 특정 유전자들이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분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