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나이보다 생물학적 나이 많으면 치매·뇌졸중 위험 증가"

스웨덴 연구팀 "생물학적 나이 5년 많으면 혈관성 치매·뇌졸중 위험 40%↑"

 실제 나이보다 혈압 등 각종 생체 지표를 기준으로 한 생물학적 나이가 더 높은 사람은 뇌졸중과 치매, 특히 혈관성 치매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사라 헤그 교수팀은 6일 의학 학술지 ' 신경학, 신경외과 및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에서 37~73세 영국인 32만5천여 명을 대상으로 한 생물학적 나이와 질병 간 관계 분석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확인된 생체 지표 기준의 생물학적 나이와 뇌졸중·치매 위험 간 연관성은 유전학·생활방식·사회경제적 요인 등 다른 질병 위험 요인을 고려해도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2006~2010년 신경학적 질환이 없는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참가자 32만5천870명(평균 연령 56.4세)을 대상으로 혈중지질, 혈당, 혈압, 폐 기능, 체질량지수(BMI) 등 18가지 생체지표로 생물학적 나이를 측정했다.

 추적 조사 기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1천397명(0.4%)이었고, 허혈성 뇌졸중 2천515명(0.8%), 파킨슨병 679명(0.2%), 운동 신경 세포와 근육이 서서히 약화하는 운동 신경증(MND) 203명(0.1%) 순이었다.

 그 결과 실제 나이와 비교했을 때 생물학적 나이가 높으면 치매, 특히 혈관성 치매와 뇌 혈전으로 인한 허혈성 뇌졸중 위험을 많이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학적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5년 더 많은 사람의 경우 모든 원인에 의한 치매 위험이 1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혈관성 치매와 허혈성 뇌졸중 위험은 각각 41%와 3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관찰 연구로서 인과 관계를 입증할 수는 없지만 신체 노화 과정을 늦추면 질병의 발병을 줄이거나 지연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앞으로 생물학적 나이와 암과 같은 다른 질병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헤그 교수는 생물학적 나이 측정에 사용한 생체 지표 중 일부는 생활방식과 약물을 통해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이를 통해 생물학적 나이를 낮추면 질병 위험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Jonathan Mak et al., 'Clinical biomarker-based biological aging and future risk of neurological disorders in the UK Biobank', https://doi.org/10.1136/jnnp-2023-33191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급여 항목' 보고제도에 의료기관 95% 참여…나머지 5% 과태료 부과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 항목 보고제도에 전체 의료기관의 95%가 참여했다고 보건복지부가 10일 밝혔다. 복지부는 올해 4월 15일 비급여 보고 제도를 전체 의료기관 7만2천815곳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했다. 지난해에는 병원급 의료기관 4천245곳만 참여했다. 비급여 보고제도는 의료법 등에 따라 의료기관이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 비용과 내역 등을 보건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한 제도다. 비급여 진료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데, 이런 비급여 현황을 파악해 국민이 합리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은 의료기관 5%는 의료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될 예정이다. 올해 보고 기간(4월 15일∼6월 30일)에 각 의료기관은 3월 진료내역 중 비급여 항목별 단가, 빈도, 상병명, 수술명 등을 보고했다. 올해 보고 항목은 총 1천68개로, 지난해(594개)보다 474개 늘었다. 복지부는 이번에 모은 비급여 보고 자료를 분석해 특정 질환 치료·수술 비용이나 진료 안전성·효과성 등 필요한 정보를 올해 안에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