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 환자, 전년 대비 3.3배로 급증…"백신 접종 당부"

 어린이를 중심으로 발작성 기침을 보이는 백일해 환자가 급증하자 보건당국이 서둘러 백신을 접종해달라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올해 백일해 환자가 이달 4일 기준 83명으로 지난해 동기 25명 대비 3.3배 규모로 늘었다고 9일 밝혔다.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 385명과 2020년 117명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나, 최근 5주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1일부터 이달 4일까지 주간 평균 백일해 환자는 8.6명으로 올해 주간 평균 1.8명을 크게 웃돌고 있다.

 백일해 환자 83명 중 연령대별로는 12세 이하 어린이가 58명(69.9%)으로 가장 많았다. 70세 이상 11명(13.3%), 60세 이상 6명(7.2%) 순이었다.

 질병청은 단체생활을 하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백일해가 확산하고 있는 만큼 백신 접종을 누락했다면 적기에 추가 접종을 해달라고 강조했다.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백신은 생후 2·4·6개월에 기본접종 3회를 마치고, 생후 15∼18개월·4∼6세·11∼12세에 추가접종 3회를 해야 한다.

 접종 횟수가 많다 보니 나이가 많아질수록 상대적으로 접종률이 떨어지는 편이다.

 국내 연령별 백일해 예방접종률은 1세 97.3%, 2세 95.1%, 3세 95.8%, 6세 94.1%, 12세 85.8%로 5∼6차 추가접종 시기인 6세와 12세의 접종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지영미 청장은 "영유아기에 접종한 백신의 효과가 나이가 많아지면서 감소할 수 있으므로 기본 접종 후 적기에 추가 접종하는 게 중요하다"며 "4∼12세 어린이는 불완전 접종 상태에서 백일해에 걸릴 우려가 있으므로 추가 접종에 반드시 참여해달라"고 밝혔다.

 백일해는 보르데텔라균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발작적으로 심한 기침을 보이는 게 특징이다.

 기침 끝에 구토나 무호흡이 나타나기도 한다. 환자가 기침 또는 재채기할 때 튀어나온 비말(침)로 타인에 전파된다.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상반기 마지막 '복귀의 문'…사직 전공의, 얼마나 돌아올까
정부가 사직 전공의들을 위한 복귀의 문을 곧 열어줄 것으로 예상되면서 얼마나 많은 전공의가 복귀를 택할지 주목된다. 18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이번 주 중 전공의 5월 추가 모집 방침을 확정하고 전국 수련병원을 통해 모집 공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전국 수련병원 단체인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전공의 복귀 수요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 14일 정부에 추가 모집을 공식 건의한 데 따른 것이다. 레지던트 고년차(과목에 따라 3년 차 또는 4년 차)가 내년 전문의 시험에 응시하려면 늦어도 5월 31일엔 수련을 시작해야 하므로, 전형에 드는 기간을 최소한으로 잡더라도 이번 주 중엔 공고가 나야 하는 상황이다. 관건은 얼마나 돌아올지다. 대학의학회를 통해 정부에 전달된 전공의들의 자체 설문에서는 최소 200명 이상이 즉시 복귀 의사를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규모로 진행된 수련병원협의회 설문에선 그보다 더 많은 전공의가 복귀 의사를 밝혔다. 지난 8∼12일 진행된 설문에선 애초 사직 전공의 전체 숫자인 1만여 명보다 많은 1만6천 명가량이 참여했는데, 투표 방해를 위한 의도적인 중복 참여 정황이 확인돼 이를 제거하는 작업을 거친 결과 참여자 수가 3분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