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 피임약 중단하면 1~2주 내 정맥혈전 색전증 위험 해소"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면 정맥혈전 색전증(VTE)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정맥 혈전 색전증은 심부 정맥 혈전증(DVT)과 폐동맥 색전증(PE)을 아우르는 명칭이다.

 심부 정맥 혈전은 겉으로는 보이지 않는 다리 깊숙한 곳에 있는 심부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이 혈전의 조각이 떨어져 나와 혈관을 타고 돌다가 폐동맥을 막으면 치명적인 폐동맥 색전증이 발생한다.

 심부정맥 혈전은 비좁은 여객기 좌석에 앉아 장거리를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잘 나타난다고 하여 일명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경구 피임약 투약을 중단하면 1∼2주 안에 정맥혈전 색전증 위험은 사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렇다면 정확히 얼마 동안 끊어야 혈전 위험이 해소될 수 있을까.

 스위스 제네바 대학병원 혈관의학 전문의 마르크 블론돈 박사 연구팀은 이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고 있는 여성 66(18~50세)명과 피임하지 않는 같은 연령대의 여성 28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피임약 그룹에는 투약을 끊도록 하고 끊기 전과 1-2-4-6-12주 후 모두 6차례에 걸쳐 혈액 샘플을 채취했다. 이와 함께 피임하지 않는 여성 28명에게서도 같은 시간에 혈액 샘플을 채취했다.

 연구팀은 두 그룹의 혈액 샘플 분석을 통해 혈전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혈액응고인자의 수치를 비교했다.

 그 결과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던 여성은 투약을 중지한 후 1∼2주 안에 혈액응고 인자 수치가 급격하게 떨어졌고 12주 후에는 피임약을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여성과 비슷한 수준에 이르렀다.

 혈액응고인자 수치 하락의 80%는 투약 중단 후 2주 안에 나타났다.

 이 결과는 수술을 앞둔 여성과 외과의가 단기간의 피임약 중단에 따른 득과 실을 평가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혈액학회(ASH) 학술지 '혈액'(Blood)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국 의대, 미복귀 학생 처분 확정…1만명 이상 유급 가능성
전국 40개 의대의 미복귀 학생에 대한 유급·제적 처분이 7일 확정됐다. 무단결석으로 제적 예정 통보를 받은 의대생들은 거의 전원 복귀했지만, 유급 대상 학생들은 대부분 수업 거부를 이어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1만명 이상의 의대생이 유급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의대 학생회 대표들은 현 정부에서는 돌아갈 생각이 없음을 밝히며 '자퇴' 결의를 했다. 교육 당국과 각 대학 등에 따르면 전국 의대는 이날까지 미복귀 의대생의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교육부에 보고했다. 이날 이후로는 처분 결과를 번복할 수 없는 만큼 사실상 유급·제적 인원이 확정된 셈이다. 정부는 오는 9일 이후 전체 의대 유급·제적 현황을 공개하기로 했다. 일부 학교에서는 수십명 단위로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전향적인 복귀 움직임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수업 참여율은 지난달 말 26%에서 약간 오른 30% 안팎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전체 의대생 1만9천760명 중 약 1만여명이 유급 혹은 제적되는 셈이다. 일례로 전남대의 경우 70% 가까이가 유급되고, 휴학이 받아들여진 24학번을 제외한 25학번 대부분이 학사경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대 의대의 경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