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에 액체비누 소량 섞으면 말라리아 모기 살충효과 10배↑"

美 연구팀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 살충제 내성 모기 퇴치 활용 기대"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남미 등에서 말라리아가 여전히 공중보건에 큰 위협이 되는 가운데 널리 사용되는 살충제에 액체비누를 소량 섞으면 살충제 내성 모기에 대한 살충 효과가 최대 10배 이상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엘패소 텍사스대 콜린스 캄뎀 박사팀은 18일 과학 저널 'PLOS 방치된 열대성 질환'(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에서 모기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에 널리 사용되는 주방용 물비누를 소량 첨가한 결과 살충 효과가 1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캄뎀 박사는 "지난 20년간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들은 대부분의 살충제에 강한 내성을 갖게 됐으며 현재 새로운 작용 방식을 가진 대체 화합물 개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면서 "이 연구 결과는 개발도상국의 말라리아 대처에 희망적인 소식"이라고 말했다

 말라리아는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과 동남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등에서 유행하는 모기 매개의 열대성 질병으로 발열, 피로, 두통, 오한 등을 일으키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2020년 전 세계적으로 2억4천100만 명이 말라리아에 걸렸고 이 중 62만7천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텍사스대 교수 임용 전 카메룬 감염병연구센터(CRID)에서 일한 캄뎀 교수는 그곳에서 일상적인 살충제 실험을 하다가 비누의 효능에 대해 처음 알게 됐다고 연구의 배경을 설명했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살충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혼합 살충제에 종자유(seed oil)를 첨가하도록 권고하는 데 살충 효과를 높이는 종자유 성분이 바로 주방용 비누와 같은 종류의 물질에 속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에서 널리 쓰이는 값싼 아마씨유 기반 비누 3종을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등 네 가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성분에 첨가한 뒤 말라리아모기에 대한 살충 효과를 조사했다.

 그 결과 비누 3종 모두 모든 살충제의 살충효과를 크게 높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세 가지 비누를 첨가한 살충제는 모두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보다 살충 효과가 30%에서 100%까지 증가했다.

 다만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pyrethroid)는 비누 성분이 첨가돼도 모기 살충 효과가 커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개발도상국 주민들이 쉽고 정확하게 비누 첨가 요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살충 효과를 강화하는 데 필요한 비누의 양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추가 테스트를 실시할 계획이다.

 캄뎀 교수는 "아프리카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들의 건강에도 해롭지 않은 비누-살충제를 만들고 싶다"며 "이런 제형의 살충제가 모기장과 같은 소재에 잘 달라붙을지는 알 수 없지만 이 방법은 유망하고 매우 흥미롭다"고 말했다.

 ◆ 출처 : PLoS Neglected Tropical Diseases, Colince Kamdem et al., 'Vegetable oil-based surfactants are adjuvants that enhance the efficacy of neonicotinoid insecticides and can bias susceptibility testing in adult mosquitoes', https://journals.plos.org/plosntds/article?id=10.1371/journal.pntd.001173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진료지원은 전문영역…자격화하고 협회가 교육 맡아야"
대한간호협회(간협)는 19일 "정부가 추진 중인 진료지원 간호사 업무에 관한 규칙은 간호사의 전문성과 현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며 "교육·자격 체계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 간협은 이날 서울 중구 협회 서울연수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6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정부가 마련 중인 '진료지원 업무 수행 규칙안'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진료지원 인력은 보건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별도의 자격을 보유한 전문간호사와, 그간 임상 현장에서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로 불리며 의사 업무 일부를 대신 수행한 인력을 말한다. 진료지원 업무는 의료법상 별도 규정이 없는 탓에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됐으나 간호법 시행으로 법적 보호를 받게 됐다. 간협은 나아가 협회가 진료지원 업무 교육의 주체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간협은 "정부는 진료지원업무 교육을 의료기관 등에 맡기려고 한다"며 "이는 의사 부족을 이유로 간호사에게 업무를 떠넘긴 현실을 방치한 채 교육마저 현장에 전가하려는 제도적 착취"라고 주장했다. 이어 "간협은 간호연수교육원을 통해 전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보수교육기관 평가와 자격시험 관리 등의 역량을 갖추고 있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생아의 빠른 심박도 재현 가능한 심혈관 모사 장치 개발
신생아의 빠르게 뛰는 심장박동까지 재현할 수 있는 심혈관 모사 장치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박윤석 교수 연구팀이 인간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모사한 소프트 심장 밸브와 고정밀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심혈관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을 위해 인체의 혈압과 맥압 변화를 인공적으로 구현한 심혈관 시뮬레이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기존 기계식 밸브나 유압 펌프 방식의 심혈관 시뮬레이터는 부피가 크고 정밀 제어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신생아나 소아의 빠른 심박수와 고강도 운동 중 발생하는 부정맥 등 병리적 상태까지 구현하기 위해서는 응답 속도와 정밀도가 높은 밸브 시스템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사람의 대동맥 판막 구조를 본뜬 소프트 자성 밸브와 자성 심장판막을 핵심기술로 하는 심혈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3개의 판막엽으로 구성된 심장 대동맥 판막은 수축·이완기 심장 박동에 따라 혈액을 한 방향으로 흐르게 하는데, 이 3엽 구조를 닮은 자성 심장판막과 소프트 자성 밸브가 외부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따라 마치 대동맥 판막처럼 자연스레 열리고 닫히게 된다. 유연성과 복원력이 우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