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도박 중독자 과반 월소득 100만원 미만…"경제적 지원 필요"

"중독 유형에 따라 맞춤형 지원하고 대중 인식도 개선해야"

 술이나 도박, 약물 중독자의 절반 이상은 한 달 수입이 100만원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 등으로 활발한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기 때문인데 이들이 지역사회로 돌아갈 수 있도록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박소연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22일 한국중독당사자지원센터 성과 보고대회에서 '중독 당사자가 인식한 사회적 낙인에 관한 연구'를 주제로 중독 당사자 226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중독자의 29.5%의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이었다. 소득이 아예 없는 사람도 25.0%나 돼 과반(54.5%)이 한 달에 100만원도 벌지 못하는 나타났다.

 근로 시간 형태별로는 전일제가 45.6%, 시간제 26.5%, 일용직 16.9%였다.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질병 또는 부상이 39.1%로 가장 많았고, 노령으로 인한 심신 무능력 11.3%, 중증 장애 6.8% 등이었다.

 현재 가장 도움이 필요한 영역으로는 '경제 영역'을 꼽았다.

 박 교수는 "중독 당사자들은 높은 수준의 경제적 배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설명했다.

 그런가 하면 중독자의 86.2%는 아동기 때 가족과 관련해 부정적 경험을 했다고 답했다.

 또래 집단에서 폭력을 목격하거나 경험한 경우는 81.9%, 집단 폭력에 노출된 경우는 77.1%였다.

 또한 중독자들은 사회적 참여와 관계 형성에서 사회적 배제를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에 따라 중독 유형과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62.8%는 외롭다고 답했고, 15.7%는 우울하다고 했다. 자살을 생각하거나 계획, 시도한 적이 있는 경우는 16.0%였다.

 응답자의 37.2%는 결혼하지 않았고, 30.6%는 이혼이나 별거 상태였다.

 박 교수는 "중독자에 대한 낙인은 사회적 고립과 자원 부족을 야기해 회복을 어렵게 한다"며 "중독 유형에 따라 맞춤형 회복 지원을 하고, 중독자에 대한 대중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중독당사자지원센터는 술이나 도박, 약물 중독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중독자가 사회로 돌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올해 3월 설립돼 취업 지원, 중독자 인권 강화, 활동가 양성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