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 금연클리닉 발길 는다…보조제·상담 등 무료 지원

일정기간 금연 성공하면 기념품 제공…"마음가짐이 제일 중요"

 새해를 맞아 금연을 결심하고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찾는 흡연자들이 늘고 있다.

 7일 창원시에 따르면 시는 창원·마산·진해보건소에 금연사업을 위한 금연클리닉을 연중 운영한다.

 이들 보건소는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과 새해가 금연 도전의 적기라고 보고 금연클리닉을 포함한 각종 금연사업 홍보에 주력한다.

 진해보건소는 보건소 금연사업 홍보영상을 별도로 제작해 새해를 앞둔 지난달 한 달간 진해 소재 영화관에서 송출하기도 했다.

 월별 현황으로 보면 세계 금연의 날(5월 31일)이 있는 5월(121명)을 제외하고 1월에 가장 많은 111명이 금연클리닉에 등록했다.

 나머지 달에는 대부분 40∼60명씩 금연클리닉을 찾았다.

 진해보건소는 금연클리닉을 이용하는 시민들에게 금연에 도움을 주는 니코틴 패치 등 보조제를 지급한다.

 또 금연을 도와주는 행동요법으로 악력기 등 스트레칭 기구와 발마사지기도 제공한다.

 금연 성공 한 달, 세 달, 여섯 달째에는 금연을 지속하도록 기념품도 준다.

 진해보건소는 일산화탄소 측정과 소변 검사를 실시해 금연 여부를 확인한다.

 금연클리닉 등록·상담을 포함한 보건소 금연사업은 흡연자를 대상으로 무료로 시행된다.

 창원·마산·진해보건소가 제공하는 금연 프로그램 내용은 모두 동일하다.

 진해보건소 관계자는 "새해를 맞아 건강을 위해 금연클리닉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며 "각오를 다잡기 위해 어린 아이들을 데리고 금연클리닉을 찾는 분도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0대부터 80대까지 금연클리닉을 찾는 연령대도 다양하고, 지인들이 삼삼오오 모여 함께 방문하는 경우도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해 이런 열기에도 불구하고 금연 결심이 성공으로 이어지는 비율은 높지는 않다.

진해보건소에서 금연 6개월 성공 기념품을 받아 간 사람은 지난해 기준 150여명에 불과했다.

 창원보건소가 자체적으로 집계한 6개월 금연 성공 비율은 매년 35% 안팎 정도를 보인다.

 창원보건소 관계자는 "금연 성공을 위해서 제일 중요한 건 본인의 마음가짐"이라며 "혼자서 힘들다면 보건소 금연클리닉 등 주변의 도움을 받아 결심을 이어가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필수의약품 공급망 강화…민관 협력 네트워크 출범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정과제인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와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구성했다고 26일 밝혔다. 국정과제 32-4는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등 차세대 백신 플랫폼 기술 개발, 국가필수의약품·의료기기 공급 안정화 및 지원, 국산 원료 의약품 인센티브 확대 등 필수의약품 공급 안정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필수의약품 제조가 개시되는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는 공급망 단계를 포괄해 지원한다. 향후 주문생산 제도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상 선정 및 행정적·기술적 지원 사항을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제약사에 필요한 인센티브를 제도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 제약 분야 협회 및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유통 참여 업체 등이 참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는 해당 네트워크 개시를 기념해 열린 간담회에서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사업 현황과 향후 네트워크 운영 방향을 논의했다. 업계는 주문생산 사업에 참여하면서 느낀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주문생산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개선과 지원 필요 사항을 건의했다.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