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치료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억제제', 각막염 위험 높아져"

 폐암 치료에 사용되는 표피성장인자 수용체(EGFR) 억제제가 각막염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각막염은 눈의 검은자 부위를 덮고 있는 투명한 각막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시력 저하, 통증, 충혈, 이물감, 눈물 흘림, 눈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초기 치료에는 점안액이 투여되지만, 증상이 아주 심한 경우는 각막 이식이 필요하다.

 EGFR 억제제는 폐암, 유방암, 대장암, 췌장암 등 여러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폐암 환자가 이 항암제를 사용하면 안구에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사례 보고서들이 있다.

 미국 하버드 대학 보건대학원의 케빈 마 역학 교수 연구팀이 2003~2023년 사이 폐암 진단을 받은 성인 환자 138만8천108명의 트리네트엑스(TriNetX)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EGFR 억제제가 투여된 환자는 향후 20년 사이 최초 각막염 발생률이 1.12%로 EGFR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의 0.74%보다 상대적으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특히 EGFR 억제제 중에서 게피티닙(제품명: 이레사), 엘로티닙(타르세바), 아파티닙(길로트립), 오시메르티닙(타그리소)이 투여된 환자는 각막결막염 발생률이 36%, 표층성 각막염 발생률이 63%, 각막 궤양 발생률이 2.13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세대 EGFR 억제제 아파티닙 복용 환자는 각막염 발생률이 2.22 배로 가장 높았다.

 EGFR 억제제는 3세대까지 나와 있고 현재 4세대가 개발되고 있지만 지난 20년 동안 각막염 발생률은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EGFR 억제제의 진화가 각막염 위험 수준에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각막염은 EGFR 억제제의 부작용일 수 있지만 폐암 자체와 연관이 있을 수도 있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 협회 저널-안과학'(JAMA Ophthalm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