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

■ 황선우, 세계선수권 자유형 200m 금빛 역영…3회 연속 메달

한국 수영의 에이스 황선우(20·강원도청)가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200m에서 '금빛 역영'을 펼쳤다. 황선우는 14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 어스파이어돔에서 열린 2024 국제수영연맹 세계선수권대회 경영 남자 자유형 200m 결승에서 1분44초75로 가장 먼저 터치 패드를 찍었다. 1분45초05에 레이스를 마친 2위 다나스 랍시스(28·리투아니아)를 0.30초 차로 따돌렸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3086351007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4005851071

■ 예상 웃돈 美물가에 S&P500 다시 5,000선 밑으로

13일(현지시간) 미국의 물가 상승률 둔화세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뉴욕 증시가 약세로 마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 인하 시기를 늦출 것이란 기대가 커지면서 채권 금리도 급등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24.63포인트(1.35%) 하락한 38,272.75에 마감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4008552072

■ 與, 2일차 공천 심사…원희룡·방문규·심재철 등 면접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1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4·10 총선 지역구 공천을 위한 2일 차 후보자 면접을 진행한다. 이날 면접 대상은 경기·전북·인천 등의 55개 지역구 공천 신청자로 오전 9시부터 오후 늦게까지 면접이 이어질 예정이다. 첫 순서인 경기 평택을에서는 현역 의원인 유의동 정책위의장 등이 면접을 본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3140000001

■ 연말정산 끝낸 직장인, 4월엔 건보료 정산…더 낼까 돌려받을까?

이달 초 지난해 근로소득에 대한 연말정산으로 '13월의 보너스'를 받거나 반대로 '세금 폭탄'을 맞아 희비가 엇갈렸던 직장인들이 이번에는 매년 4월에 하는 건강보험료 정산으로 또다시 명암 교차를 겪는다. 작년 임금인상 등으로 소득이 오른 직장인은 더 내지 않았던 건보료를 추가로 납부해야 하지만, 봉급 인하 등으로 소득이 쪼그라든 직장인은 더 많이 냈던 건보료를 돌려받는다. 14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법 제69조 및 제70조 등에 근거해서 해마다 4월이면 직장 가입자를 대상으로 건강·장기 요양보험료 연말정산을 한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3075800530

■ 김성한 "北, 한국 총선 앞두고 서해5도 등에서 무력도발 가능성"

미국을 방문 중인 김성한 전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오는 4월 한국 총선을 앞두고 북한이 국지적인 무력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13일(현지시간) 지적했다. 김 전 실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팟캐스트에 출연, "재직 당시 북한의 도발에 대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논의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그는 "여기에는 서해 5도에 대한 공격을 포함해 다양한 종류의 미사일 시험발사 등이 있었다"면서 "(북한이 한국의) 총선을 앞두고 미국에는 위협이 되지 않으면서 한국만 반응하도록 하는 수준의 국지적 도발을 자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4008200071

■ 당정, 오늘 '고금리 위기 극복' 기업금융 지원 논의

정부와 국민의힘은 14일 오전 국회에서 금융계, 중소기업계 등과 함께 협의회를 열어 고금리 위기 속 기업금융 지원 방안을 논의한다. 당정은 이날 협의회에서 중소기업 금융비용 경감 대책 등의 '고금리 위기 극복과 신산업 전환을 위한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방안'을 살펴볼 예정이다. 협의회에는 당에서 유의동 정책위의장, 정책위수석부의장 이태규 의원, 정책위부의장 송석준 의원 등이 참석하고, 정부에서는 김주현 금융위원장 등이 함께한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3141600001

■ 이재명, 소상공인 지원 대책 총선 공약 발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14일 소상공인을 위한 총선 공약을 발표한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소상공인연합회 대회의실에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소상공인·자영업자들이 고금리·고물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금리·경영 부담 완화와 내수 활성화 지원 대책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3135200001

■ 서울 등 수도권에 인구 50.7% 거주…취업자도 절반 넘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우리나라 인구의 과반이 살고 취업자 수도 절반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체 본사도 절반 이상이 수도권에 있고 수출 비중은 70%를 웃돈다. 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은 6억6천만원으로 비수도권보다 2억원 이상 많았다. 14일 중소벤처기업부와 행정안전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주민등록인구는 2천601만명으로 전체의 50.7%에 달했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3136500030

■ '성남도개공 조례 통과' 청탁 의혹 김만배, 오늘 1심 선고

대장동 개발 사업을 도와달라고 당시 성남시의장에게 청탁하고 뇌물을 공여한 혐의로 기소된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 씨에 대한 1심 재판부 판단이 14일 나온다. 수원지법 형사11부(신진우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2시 김 씨의 뇌물공여 등 혐의 선고 공판을 연다. 김 씨에게 청탁받고 부정한 방법으로 성남도시개발공사 설립 조례안을 통과시킨 혐의(부정처사 후 수뢰)로 기소된 최윤길 전 성남시의회 의장도 이날 함께 판결을 선고받는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4021311970006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스텐트 시술받고 아스피린 먹는 환자, 수술 전 중단해도 될까
심근경색 등으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는 재발을 막기 위해 아스피린을 평생 먹는다. 문제는 이들이 심장이 아닌 다른 부위 수술을 받을 때다.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면 혈전 위험이, 반대로 유지하면 수술 중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서다. 상반된 우려가 공존하는 가운데 스텐트 시술 후 아스피린을 먹는 환자가 다른 수술을 앞두고 복용을 중단하더라도 주요 합병증 위험이 증가하지 않는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에 따르면 안정민 서울아산병원 교수가 2017∼2024년 전국 의료기관 30곳의 환자 1천10명을 분석한 결과, 수술 30일 이내 사망·심근경색·스텐트 혈전증·뇌졸중 등 주요 합병증 발생률은 아스피린 유지군 0.6%, 중단군 0.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를 삽입한 환자의 20% 상당은 통상 2년 이내에 정형외과나 안과 등 다른 진료 분야 수술을 받는데, 이때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해야 할지를 결정하는 데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국내외 임상 진료 지침은 출혈 위험이 아주 크지 않다면 아스피린 유지를 권고하고 있지만, 실제 의료현장에서는 수술 전 아스피린 중단이 전제되는 경우가 많아 혼선이 있었다. 이번 연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