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가임기 여성 난자동결 지원 확대…20대 문턱 낮춰

1인당 최대 200만원…난소기능 저하 유발 질환 20대 모두 지원

 서울시는 20∼49세 여성이 난자동결을 희망할 경우 1인당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는 '난자동결시술비용 지원사업' 지원 대상을 지난해 300명에서 올해 650명으로 두 배 이상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또 임신 확률이 높은 20대의 건강한 난자동결 지원을 늘리고자 난소기능수치(AMH) 기준을 완화하고 난소기능 저하 유발 질환을 진단받은 경우 수치에 상관없이 모두 지원하기로 했다.

 난자동결은 건강한 난자를 채취해 초저온 상태에서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해동해 사용하는 시술이다.

 시는 20∼40세 여성에게 1인당 난자동결 시술비의 절반인 최대 20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을 지난해 9월부터 시행 중이다.

 30∼40대는 난소기능 수치와 상관 없이, 20대는 mL당 1.5ng 이하인 경우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20대는 난소기능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아 지난 4개월간 시술비 수혜자 총 219명 중 20대는 18명(8.2%)에 불과했다.

 서울에서 6개월 이상 거주(주민등록상)한 20∼49세 여성이면 신청할 수 있고 사업 시작 시점인 지난해 9월1일 이후 이미 시술한 경우도 전문가의 서류 확인 등의 절차를 거친 후 대상으로 인정되면 완화된 기준으로 소급 지원된다.

 지원사업은 시가 손해보험 사회공헌협의회와 지난해 협약을 체결 후 추진하는 것으로, 손해보험협회는 2023∼2026년 총 30억의 난자동결 시술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손해보험협회 기부금으로 지원하는 500명에 대해서는 지원 기준이 즉시 완화되고 시 예산으로 지원하는 150명은 사회보장제도 변경 협의가 완료된 뒤 완화된 기준을 적용한다.

 신청은 서울시 몽땅정보만능키(https://umppa.seoul.go.kr/)에서 온라인으로 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울여성가족재단(☎ 02-3280-2049)으로 문의하면 된다.

 김태희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심각한 저출생 상황에서 아이를 간절히 바라는 시민에게는 서울시가 동행하며 전폭적으로 지원하겠다"며 "난자동결 지원은 건강한 난자동결로 임신 성공률을 높이고 건강한 출산으로 이어져 산모의 건강권을 보장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