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후유증 '롱 코비드' 용어 중단을…타 바이러스와 차이 없어"

호주 연구팀 "'롱 코비드' 용어, 잘못된 인식·불필요한 공포 초래"

 코로나19 감염 후 나타나는 장기 후유증인 '롱 코비드'(Long Covid)는 계절성 인플루엔자나 호흡기 질환 같은 다른 바이러스 후 증후군과 차이점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롱 코비드'라는 용어가 코로나19 후유증에 독특하고 예외적인 무언가가 있다는 잘못된 인상을 주고 불필요한 공포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이 용어의 사용 중단을 제안했다.

 유럽 임상 미생물학 및 전염병 학회(ESCMID)는 호주 퀸즐랜드주 보건부 존 제라드 박사팀이 퀸즐랜드 주민 중 코로나19 PCR 확진자와 음성자 5천1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유증 조 사에서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오는 4월 27~30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올해 유럽 임상 미생물학 및 감염병 학회(ECCMID 2024)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음성자 중 955명은 인플루엔자 양성, 1천718명은 다른 호흡기 증상이 있었다.

 전체 응답자의 16%(834명)는 1년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고 답했고, 3.6%(184명)는 일상생활 활동에 중등도 이상의 기능 장애가 있다고 답했다.

 연령, 성별 등 요인을 배제하고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확진자가 코로나19 음성 유증상자보다 진단 1년 후 중등도~중증 기능 장애가 있는 후유증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 인플루엔자 증상이 있는 995명과 비교했을 때도 결과는 비슷했다.

 제라드 박사는 코로나19는 팬데믹 기간에 많은 감염자가 나왔기 때문에 특이하고 심각한 질병으로 보였을 수 있지만 이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후유증이 증상과 장애 비율 면에서 다른 바이러스 질환과 구별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롱 코비드'라는 말은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증상에 뭔가 독특하고 예외적인 것이 있다는 잘못된 인상을 준다며 이런 용어는 불필요한 공포와 회복을 방해할 수 있는 과잉 경계를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