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환자, 여의사한테 치료받으면 사망률 낮아…남자의사는 여성질환 심각성 과소평가"

美 UCLA 연구팀 분석…여의사의 소통이 치료에 긍정적 영향 가능성

 환자들이 여자 의사에게 치료받았을 때 사망률이 남자 의사에게 치료받았을 때보다 낮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더타임스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UCLA) 연구팀은 80만명의 병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특히 연구팀은 여성 환자가 여의사에게 치료받으면 퇴원 후 30일 내 재입원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면서 여의사 치료의 혜택이 여성에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강조했다.

 또한 여의사의 치료를 받은 남성 환자가 퇴원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는 10.15%였지만 남자 의사의 치료를 받았을 때는 사망률이 10.23%로 소폭 높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여의사의 치료를 받은 여성 환자의 30일 내 재입원율은 15.23%인 반면 남성 의사의 치료를 받은 여성의 30일 내 재입원율은 16.71%였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은 여의사들이 여성 환자들과 더 원활하게 소통하고 여자 환자들도 민감한 대화를 하는데 여의사를 더 편하게 여기는 것이 더 나은 진단과 치료로 이어지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쓰가와 유스케 UCLA 데이비드 게핀 의대 부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여성과 남성 의사들이 다르게 치료하며 치료 결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고 밝혔다.

 유스케 부교수는 의사의 성별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과 여성 환자에 대한 여의사 치료의 이점이 큰 이유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뤄지면 환자에 대한 전반적인 치료 결과를 개선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여의사들이 양질의 치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더 많은 여의사가 사회적 관점에서 환자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뉴캐슬 대학의 개빈 스튜어트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스튜어트 교수는 후향적 관찰 연구 설계를 사용했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한계점이라면서 혼란을  줄 가능성이 분명히 있는 만큼 추가 연구를 통해 확증되지 않는 한 이번 연구의 결론은 신중하게 다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 사이 미국 메디케어 보험 청구 자료를 기초로 했으며 대상이 된 환자 중 남성은 31만9천800명, 여성은 45만8천100명이었다.

 이중 여성 의사의 치료를 받은 환자는 31%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근경색 후 사망률, 소득 따라 달라…저소득 지역가입자 1.34배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후 사망할 확률이 직장 여부와 소득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이 직장가입자보다 높았고, 지역가입자 중에서는 저소득자의 사망률이 높았다.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강희택 교수와 중앙대병원 순환기내과 원호연 교수 공동연구팀은 건보 가입자 유형에 따른 급성 심근경색 진단 후 사망률을 비교·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2007년부터 1년간 급성 심근경색을 진단받은 3만1천938명 중 연구에 적합한 5천971명을 추린 뒤, 이들을 직장가입자(4천329명)과 지역가입자(1천642명)로 나눴다. 이후 부과된 건보료를 기준으로 소득 수준을 상·중·하로 재분류해 사망률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추적 기간 13.5년간 급성 심근경색을 앓은 지역가입자의 사망률은 직장가입자의 1.11배로 나타났다. 지역가입자 중 소득이 가장 적은 집단의 사망률은 이들보다 소득이 높은 집단(중·상)의 1.34배였다. 다만 직장가입자에서는 소득 구간에 따른 사망률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직장과 소득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가 급성 심근경색 이후의 사망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