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천군·안동시·당진시·금산군·두천시 등 5곳서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생체정보 감지 조끼·배뇨량 측정 기저귀' 등…선정기업엔 과제당 1∼2억원 지원

 보건복지부는 6월 추진되는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에 활용할 6가지 복지기술과 시행 지방자치단체 5곳을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은 지역에서 돌봄 로봇이나 인공지능(AI) 등 혁신기술이 결합된 사회서비스를 제공해 복지 기술을 상용화하고 새로운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도록 정부가 추진하는 사업이다.

 시범사업 공모에 선정된 기업은 돌봄드림, 누비랩, 실비아헬스, 메디로지스, 맨엔텔, 마크노바다.

 이들 기업은 '돌봄조끼를 활용한 노인 안전안심 서비스', '배뇨량이 측정되는 스마트 기저귀 활용', '어린이집 푸드 스캐너 활용' 등의 사회서비스 기술을 제출했다.

 '스마트 기저귀'는 실시간으로 용변과 배뇨량 등을 측정하고 욕창·낙상 위험을 감지하는 기저귀다.

 이밖에도 시범사업에서는 어린이집 영유아들의 식판을 스캔해 섭취량 등 영양 데이터를 분석하는 '푸드 스캐너', 실제와 동일한 가상 도로에서 디지털 여행을 할 수 있는 하지운동기구 '꿈의자전거' 등을 선보인다.

 시행 지자체로는 강원 홍천군, 경북 안동시, 충남 당진시, 충남 금산군, 경기 동두천시가 선정됐다.

 정부는 최종 선정된 기업에 과제당 1∼2억원을 지원하고 이번 시범사업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 기업에 실증결과 확인서를 수여한다.

 실증을 거친 서비스 모델은 별도 절차를 거쳐 지역 사회서비스 사업에 활용된다.

복지부, 6월부터 홍천군 등 5곳서 스마트 사회서비스 시범사업 - 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