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뒤 2조원대' 반려동물 백신…국내 개발 현황은

 

서울 마포구에 사는 직장인 남성 유모 씨(23)는 최근 새끼 고양이를 입양하자마자 동물병원으로 갔다.

 고양이가 어릴 때 최대한 빨리 '고양이 종합 백신'을 접종받아야 한다는 이유였다.

 유모 씨는 "종합 백신을 맞춰야 허피스 바이러스 감염 등을 막을 수 있다"며 "백신 종류가 많아 당분간 동물병원을 자주 들락거릴 것 같다"고 말했다.

 동물용 백신은 특정 질병으로부터 동물을 보호하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al preparation)로, 크게 식품용 동물 백신과 반려동물 백신 등으로 분류된다.

 김 책임연구원이 인용한 미국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의 분석에 따르면 전체 동물용 백신 시장에서 식품용 동물 백신 비중이 2022년 기준 81%로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반려동물 백신은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기존 13%에서 2027년에는 15%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는 2022년 9억8천만 달러(약 1조4천억 원) 수준에서 연평균 8.4% 성장해 2027년에는 15억9천만 달러(약 2조2천억 원) 규모 시장을 형성할 것이란 게 이 기관의 예상이다.

 이 같은 성장세의 주요인은 정부 정책 등도 있지만 반려동물 수의 증가가 가장 결정적이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2027년 반려동물 수가 2017년에 비해 51% 가량 늘어난 1천320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내다봤다.

 이에 맞춰 반려동물용 백신을 개발하는 국내 기업도 눈에 띈다.

 중앙백신연구소는 반려견 인플루엔자 예방 백신, 전염성간염 및 파보바이러스 등 예방 백신, 전염성 호흡기 질환 예방 백신 등 다양한 종류의 백신을 개발했다.

 최근에는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SFVS) 방어를 위한 반려동물 SFTSV 백신 개발에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비엔피도 반려견 파보바이러스 감염 예방 백신과 디스템퍼, 파라인플루엔자 감염증 예방 백신 등을 개발했다.

 그 외 컬프와 삼양애니팜도 반려동물에 최적화된 지속형 항생제 개발에 나서는 등 여러 기업이 활발한 연구개발(R&D)을 진행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반려동물, 산업 동물 시장이 점점 커지는 만큼 관련 백신 시장도 계속 성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다만 동물용 백신 시장 진입에 많은 자본이 투입돼 소규모 기업에는 장벽이 높다는 지적도 나온다.

 외국산 동물용 백신에 비해 국내 백신의 인지도가 낮다는 점도 한계로 지목된다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시장에 아직 들어오지 않은 종류의 백신을 개발하거나 엑소좀 등을 활용한 새로운 동물용 백신 플랫폼을 도입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차세대 약물 전달체로 꼽히는 엑소좀은 세포 간 정보 교환을 위한 메신저 역할을 하는 물질로, 여기에 백신 등 약물을 탑재한 뒤 특정 타깃을 겨냥해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