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아동 4명중 1명만 '삶 만족도' 높아…OECD 평균보다 7.7%p↓

아동권리보장원 보고서 발간…'삶 만족도 낮다' 비율은 OECD 평균보다 4.4%p 높아
청소년 76.2%, 공부문제로 고민…외모·직업선택·친구 고민 많아

 우리나라 15세 아동 중 '삶의 만족도'가 높은 아동 비율은 26.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7.7%포인트나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권리보장원은 4일 국내·외 주요 아동 통계를 모은 '2024 아동분야 주요통계'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중 OECD의 '아동 삶의 만족도 국제 통계'에는 2022년 주요 국가의 15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가 실렸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15세 아동 중 26.1%가 '높은 삶의 만족도를 느끼고 있다'고 대답했다. 이는 OECD 평균인 33.8%보다 7.7%포인트 낮은 수치다.

 반면 '낮은 삶의 만족도를 느끼고 있다'고 대답한 아동의 비율은 22.3%로 OECD 평균인 17.9%보다 4.4%포인트 높았다.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였다. 통계청이 2022년 국내 13∼18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복수응답 허용) 청소년들의 76.2%는 공부(성적·적성)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 문제(42.8%), 직업 선택 문제(36.2%), 친구 문제(35.8%)가 뒤를 이었고, '신체적·정신적 건강 문제가 고민된다'고 답한 경우는 27.2%였다. .

 청소년 4명 중 1명은 가정·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통계청이 2022년 연령별로 '가정생활 스트레스'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23.7%는 '느낀 편'이라고 대답했고, 2.1%는 '매우 느낌'이라고 답했다.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초·중학교 학생의 25.6%, 고등학생의 29.3%가 느꼈다.

 아동분야 주요통계에는 이 외에도 ▲ 아동인구현황 ▲ 사회정책·인프라 ▲ 권리 ▲ 건강 ▲ 학습·발달 ▲ 양육환경·돌봄 ▲ 여가·활동·참여 ▲ 안전·폭력 ▲ 관계·주관적 웰빙 등 9개 영역의 OECD, 통계청 발간 지표 등이 실렸다.

 전체 통계 내용은 아동권리보장원 누리집(https://www.ncr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익중 아동권리보장원 원장은 "해당 보고서를 통해 누구나 우리나라 아동의 삶의 질 현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며 "보고서가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권리 증진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