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한번 먹어요'는 빈말"…CIS 한국어교사 말하기 대회 결선

  "한국 연수 중에 교수님이 '밥 한번 먹자'고 해서 기다렸는데 결국 귀국할 때까지 연락이 오지 않아 서운한 적이 있었습니다.

 나중에 그게 '빈말'이란걸 알았고 한국에서는 애정 있는 소통 표현이라는 것을 안 뒤로 오해가 풀렸습니다."

 재외동포청 산하기관인 재외동포협력센터(센터장 김영근)가 한국외대 교수회관에서 지난 18일 개최한 'CIS한국어교사 말하기 대회' 결선에서 우승을 차지한 카자흐스탄 옐도스교육센터한글학교의 김올가 교사는 '한국 사람들은 왜 그렇게 말합니까'라는 주제로 빈말 문화에 대해 소개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빈말은 '실속 없이 헛된 말'을 가리킨다.

 그는 "이런 빈말은 대부분 상대에 대한 관심과 배려하는 마음에서 건네는 표현"이라며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들이 빈말에 담긴 뜻을 알게 되면 한국의 언어문화가 얼마나 따뜻한지 알 수 있다"고 말해 박수를 받았다.

 공동 우승자인 러시아 볼고그라드에서 온 김따지아나 교사는 '알파 세대 학생들, 왜 이럴까?'를 주제로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그는 "2010년 이후 출생한 알파 세대 학생들은 스마트폰 및 인터넷과 함께 성장한 디지털 시대의 원주민"이라며 "이들을 가르칠 때는 강의 위주보다는 다양한 학습 방법을 동원하고 자유로운 학습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계이리나(카자흐스탄), 김디아나(우즈베키스탄), 이나탈리야(러시아) 교사가 2위를, 김예브게니야·이올가(카자흐스탄), 최마리나(러시아) 교사가 3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회는 재외동포협력센터가 주최하고 한국외대가 주관한 'CIS 한국어 교사 초청연수' 기간에 열렸다.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 4개국에서 20명의 교사가 참여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서둘러 병원 방문"
명절에 오랜만에 만난 부모님이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 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지는데,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또한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