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건강기능식품 거래 안정궤도…규정 미준수 3% 미만"

미준수 대부분은 개봉 제품…인증마크 자동판독 OCR 기술 효과

 지역 생활커뮤니티 당근의 건강기능식품(건기식) 개인 간 거래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을 지키지 않은 게시물 비율이 3%를 밑돌 정도로 줄었다.

 28일 당근에 따르면 지난 6월 20일부터 이달 19일까지 한 달 동안 당근 중고거래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 올라온 게시글의 97.23%가 판매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과 번개장터에서는 지난 5월 8일 정부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건강기능식품의 개인 간 거래가 시작됐다.

 식약처의 건강기능식품 거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소비기한, 제품명 등이 표기되지 않은 낱개 포장 제품은 판매할 수 없다.

 액상 음료 등 일반 식품을 건강기능식품 게시판에 올리는 규정 미준수 사례도 있다.

 당근은 "규정 미준수로 제재되는 비율이 전체 게시글 중 3% 미만이라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건강기능식품 시범사업이 시행착오를 거쳐 안정 궤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시범사업 초기 건강기능식품 게시판을 통해 의약품이 불법으로 판매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그러자 당근은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을 도입하는 한편, '의약품 중고 거래 및 나눔은 불법'이라는 공지글을 올리며 이를 차단하는 데 공을 들였다.

 또 지난달 하순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 건강기능식품을 나타내는 문구나 마크가 없는 사진이 올라올 경우 OCR 기술로 자동으로 판독하고 게시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개인 간 건강기능식품 거래 허용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무조정실 규제심판부의 권고를 받아들인 결과로, 국무조정실이 지난 2∼11일 진행한 규제심판제도 개선 사례에 관한 온라인 국민 투표에서 5위에 올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