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근 "건강기능식품 거래 안정궤도…규정 미준수 3% 미만"

미준수 대부분은 개봉 제품…인증마크 자동판독 OCR 기술 효과

 지역 생활커뮤니티 당근의 건강기능식품(건기식) 개인 간 거래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기준을 지키지 않은 게시물 비율이 3%를 밑돌 정도로 줄었다.

 28일 당근에 따르면 지난 6월 20일부터 이달 19일까지 한 달 동안 당근 중고거래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 올라온 게시글의 97.23%가 판매 규정을 준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과 번개장터에서는 지난 5월 8일 정부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건강기능식품의 개인 간 거래가 시작됐다.

 식약처의 건강기능식품 거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소비기한, 제품명 등이 표기되지 않은 낱개 포장 제품은 판매할 수 없다.

 액상 음료 등 일반 식품을 건강기능식품 게시판에 올리는 규정 미준수 사례도 있다.

 당근은 "규정 미준수로 제재되는 비율이 전체 게시글 중 3% 미만이라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건강기능식품 시범사업이 시행착오를 거쳐 안정 궤도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시범사업 초기 건강기능식품 게시판을 통해 의약품이 불법으로 판매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그러자 당근은 광학문자인식(OCR) 기술을 도입하는 한편, '의약품 중고 거래 및 나눔은 불법'이라는 공지글을 올리며 이를 차단하는 데 공을 들였다.

 또 지난달 하순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에 건강기능식품을 나타내는 문구나 마크가 없는 사진이 올라올 경우 OCR 기술로 자동으로 판독하고 게시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보내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개인 간 건강기능식품 거래 허용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무조정실 규제심판부의 권고를 받아들인 결과로, 국무조정실이 지난 2∼11일 진행한 규제심판제도 개선 사례에 관한 온라인 국민 투표에서 5위에 올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코스맥스 "한국인 피부 상재균 연구…피부분석 알고리즘 개발"
글로벌 화장품 ODM(연구·개발·생산) 기업 코스맥스는 15년간 한국인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상재균)에 대한 연구를 통해 피부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코스맥스는 지난 2011년부터 이어온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마치고 피부 진단을 할 수 있는 알고리즘 플랫폼 '페이스링크'(FACE-LINK™) 개발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페이스링크는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코스맥스의 독자 플랫폼으로 2022년 처음 개발된 후 현재까지 누적 데이터가 늘어나면서 알고리즘 정교화 과정을 거쳤다. 한국인 피부 마이크로바이옴 특성을 96% 이상 정확도로 분석할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코스맥스는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분석을 위해 지난 5년간 단국대학교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전문기업 휴앤바이옴과 함께 한국인 1천명의 피부 상태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표본을 피부 특성과 연령 등 12개 유형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25%는 피부에서 건조함과 유수분 보충 부족 문제를 가지고 있었고, 15%는 피부 탄력과 톤에 문제를 갖고 있었다. 표본 30%는 이 두 가지 피부 문제를 모두 갖고 있었다. 종합적인 피부 문제를 가진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10대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