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수급자 10명 중 4명 노인…고령화에 계속 증가

수급자 41.3%, 65세 이상…10년 전보다 11.4%P 늘어
여성 노인 중 12%가 수급자…노인 빈곤율 OECD 평균 3배

  작년 기초생활보장급여 일반수급자 10명 중 4명 이상은 65세 이상 노인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노인은 9명 중 1명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빈곤층 비율이 높았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2023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현황'에 따르면 작년 기초생활보장급여 일반수급자는 245만8천608명이었다.

 기초생활보장제도는 국가의 보호가 필요한 저소득층의 생활과 자활을 돕기 위해 국가가 급여를 지급하는 빈곤층 대상 복지제도다.

 65세 이상 노인 수급자는 101만5천379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41.3%를 차지했다.

 노인 인구를 기준으로 보면 전체(973만411명)의 10.4%(101만5천379명)가 수급자로 노인 10명 중 1명 이상이 절대적 빈곤층에 놓여있다.

 성별로 보면 전체 여성 수급자는 137만1천164명으로 남성(108만7천444명)보다 많았다.

 인구수 대비 수급자 비율도 여성은 5.3%로 남성(4.3%)보다 컸다.

 여성의 생애주기별 수급자 비율은 노년기가 47.1%로 가장 많았다. 전체 여성 노인(543만3천444명) 중 11.9%(64만5천693명)가 수급자로, 9명 중 1명 이상이 절대적 빈곤층이었다.

 남성의 생애주기별 수급자 비율은 중년(40∼64세)이 38.6%로 가장 컸고, 노년기는 34.0%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인구수 대비 수급자 비율은 노인이 전체(429만6천967명)의 8.6%(36만9천686명)로 훨씬 많았다. 중년은 4.0%였다.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노인 인구 비율이 계속 늘어나고 있다.

 최근 5년간 수급자 중 노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8년 32.8%, 2019년 35.3%, 2020년 35.4%, 2021년 37.6%, 2022년 39.7%, 2023년 41.3%로 매년 증가했다.

 작년 수급자 중 노인의 비율은 10년 전인 2013년(29.9%)보다 무려 11.4%포인트 늘어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신 통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OECD가 국가별 노인 빈곤율을 공개한 2009년 이후 한국은 계속 노인 빈곤율 1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공식 출범…"다양한 현장 의견 반영"
교육부의 의대 정책 자문기구인 의대교육자문단이 1일 출범한다. 교육부는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의대교육자문단 첫 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3월 의대교육 정상화 방안을 발표하면서 그간 파행한 의대교육 내실화를 위해 의대교육 당사자들이 참여하는 별도 자문기구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자문단은 의학교육계 5명, 의과대학(원)생 5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정부 2명(교육부·보건복지부) 등 총 17명으로 꾸려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자문단 활동 방향과 향후 운영 계획은 물론 의대 교육혁신 지원사업의 주요 내용이 공유된다. 교육부는 "의학교육 당사자들이 자문단에 직접 참여하게 된다"며 "소통과 협력을 통해 현장 적합성이 높은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교육부는 향후 자문단의 의견을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전문가와 논의해 의료 인력 양성 과정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최은옥 교육부 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의대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과제"라며 "현장의 다양한 의견을 정책에 반영하는 데 자문단이 중추적 역할을 해주길 기대한다"고 밝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