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스트 연구팀,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 개발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30일 생명과학부 김용철 교수 연구팀이 우울증과 수면장애 등을 유발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치료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 연구팀은 신경계에서 통증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활성 이온 채널 수용체의 활성도를 낮추는 길항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길항제는 낮은 농도에서도 수용체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했고 미각 상실과 같은 부작용도 낮출 수 있다.

 증상 완화를 위해 통증 관련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사용하고 있지만, 통증  감소 효과가 작고 어지러움 및 위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차세대 신약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과제와 한국화학연구원 과제의 지원을 받았다.

 연구 성과는 의약화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저널 오브 메디시널 케미스트리'(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에 온라인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국의료 '복합위기' 직면…국책연구기관, 시스템 붕괴 경고
우리나라 보건의료체계가 의사 인력의 불균형, 왜곡된 의료 전달체계, 불공정한 보상 구조라는 삼중고에 직면했으며, 이대로 방치할 경우 필수의료와 지역의료 시스템 붕괴라는 연쇄적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종합 진단이 나왔다. 국책연구기관은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의 공급자 중심 정책에서 벗어나,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24시간 의료 길잡이' 서비스 도입과 같은 구체적인 미래상을 제시하며 패러다임 전환을 촉구했다. 26일 보건복지부 의뢰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공개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한국 보건의료는 개별적 문제가 아닌 여러 위기가 중첩된 '복합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보고서가 지적한 위기의 핵심은 의료인력의 극심한 불균형이다. 2024년 상반기 레지던트 1년차 충원율을 보면, 소아청소년과는 26.2%, 심장혈관흉부외과는 38.1%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받았다. 반면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등 소위 '인기 과목'은 100% 충원율을 기록하며 의사 인력이 국민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 분야를 외면하는 현실을 그대로 드러냈다. 지역 간 의료 격차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수도권의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