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응급의료기관 24시간 운영"…추석연휴 종합대책 추진

 경기도는 안전한 명절 연휴를 위해 민생 회복, 안전·보건, 문화·복지, 교통·편의 등 4개 분야에 걸쳐 '추석 연휴 종합대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이달 14~18일 닷새간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비상근무 체계를 구축해 도민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 기간 각종 불편·문의 사항은 24시간 경기도 콜센터(☎031-120)에서 도움받을 수 있으며, 응급진료가 필요할 경우 응급진료 상황실(☎031-8008-4775)을 통해 의료기관을 안내받을 수 있다.

 의료 공백 장기화에 따른 도민의 불안을 해소하고자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한다.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을 포함, 응급의료기관을 24시간 상시 운영한다.

또한 전통시장, 다중이용시설 등 화재 취약 시설 961곳을 대상으로 소방안전 관리를 강화하며,  전기차 충전시설도 합동 점검한다.

 가정폭력 재발 우려 가정과 아동학대 고위험군, 수사 중인 사건을 모니터링해 응급조치, 즉각 분리조치 등을 지원한다.

 대중교통은 탄력적으로 운행해 이동 편의를 제공한다. 시외버스의 경우 5개 권역에 42개 노선, 89대를 증차하고 시내·마을버스의 경우 필요시 심야 연장 운행을 한다.

 주요 도로 교통 및 버스 정보는 경기도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gits.gg.go.kr), 모바일앱(경기교통정보), 전화(☎1688-9090)로 확인할 수 있다.

 도민의 장바구니 부담을 덜고자 경기지역화폐 구매 한도와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전통시장이나 골목상권에서 5만원 이상 구매 시 10%를 돌려주는 등 민생회복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장기간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위한 맞춤형 자금지원 사업도 추진한다.

 소상공인 2만여명에게 재료비나 공과금 등 운영비 전용 자금 카드를 지원하고 중·저신용등급 소상공인 1만5천여명 대상 부채 상환연장 특례보증을 제공한다.

 복지 사각지대 위기가구를 대상으로 핫라인(☎010-4419-7722), 전용 콜센터(☎031-120-0), 카카오톡 채널(경기복G톡) 등을 상시 운영해 상담 접근성을 강화한다.

 연휴 전후 방문이나 유선, 사물인터넷(IoT) 장비를 활용해 취약계층 노인과 장애인 16만여명의 안부를 확인하고 노숙인 833명 대상 보호·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상담이 필요한 청소년은 상담전화(☎1388)를 통해 24시간 도움을 받을 수 있고, 보호가 필요한 가정 밖 청소년은 상시 개방하는 도내 32개 청소년 쉼터를 이용할 수 있다.

 17일 추석 당일을 제외한 연휴 동안 경기도박물관을 비롯한 도내 공립 박물관과 미술관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기획전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70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을 대상으로 도내 프로스포츠단 경기 입장권을 1천원에 구매할 수 있도록 관람료(기회경기관람권)를 지원한다.

 정구원 도 자치행정국장은 "안전하고 풍요로운 추석 연휴를 보낼 수 있도록 공백 없는 보건 체계 구축과 민생 회복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