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근거리 여행'이 트렌드…해외결제 62%가 아태지역"

비자, 한국인의 오프라인 결제 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

  올해 상반기 해외여행 행선지로 아시아권 국가 인기가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결제기술기업 비자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인의 해외 여행지 카드 결제 데이터 분석'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해외 오프라인 가맹점에서 발생한 국내 발행 개인 비자 카드의 결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전체 결제 금액 중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결제된 금액이 62%로, 작년 상반기(53%)보다 증가했다.

 엔저 효과와 직항 항공편 확대 효과로 아시아 결제 금액 중 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39%에서 올해 48%로 확대됐다.

 여행지별로 일본에서는 쇼핑에 가장 많은 돈을 쓴 반면, 호주에서는 미식·의약품에 돈을 많이 쓴 것으로 분석됐다.

 일본에서 지출된 전체 금액 중 백화점에서 소비한 금액이 30%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할인매장(14%), 의류잡화(10%) 등도 지출 비중이 높았다.

 한국인은 베트남에서는 숙박(21%)에 가장 많은 돈을 쓴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주에서는 식료품점(16%)과 레스토랑(14%), 의약품(12%)에 가장 많은 돈을 지출했다.

 유럽과 호주에서는 결제액의 70% 이상이 EMV 컨택리스(유로페이·마스터카드·비자카드 비접촉 결제 서비스)로 이뤄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