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道 휴게소 최고 맛집은?"…'칠곡(부산)휴게소 한미식당'

ex-food 부문 대상 '섬진강(부산)휴게소 보성꼬막비빔밥'

 한국도로공사는 휴게소 음식의 맛·품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2024년 휴게소 음식 FESTA'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는 지난 8월부터 예선·본선·국민투표를 거쳐 선정한 '2024 휴게소 BEST음식 명품 맛집 11선'과 'ex-food 11선'을 대상으로 경진이 펼쳐졌다.

 명품 맛집은 휴게소에서 지역 유명 맛집을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현재 158개소에서 운영되고 있다.

 경진대회에서는 음식의 맛과 메뉴의 참신성 등을 학계 및 음식 분야 전문가 등 외부 평가위원과 내부 임직원, 지역 주민들이 참여해 평가했다.

 이러한 평가를 거쳐 명품 맛집 부문 대상은 칠곡(부산)휴게소의 한미식당(대표메뉴 치즈시내소)가 차지했다.

 최우수상은 보성녹차(영암)휴게소의 보성꼬막비빕밥, 우수상은 음성(하남)휴게소의 이정동묵밥이 선정됐다.

 ex-food 부문 대상은 섬진강(부산)휴게소의 웰빙 청매실 재첩비빔밥이 수상했다.

 최우수상은 진영(순천)휴게소의 할매잔치국수, 우수상은 내린천휴게소의 참살이 산나물 비빔밥이 선정됐다.

 이 외에 안성(부산)휴게소의 누엘아토 돈가스 등 16선은 장려상을 받았다.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은 "전국 유명 맛집 유치와 대표 메뉴를 개발해 휴게소 서비스 수준 향상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