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사 '맛'에 편의점 '재미' 더했다…협업상품 전성시대

과자→전통주·만두→빵 등 색다른 조합…"기존 상품 이미지 제고"

  쌀로별주, 용가리 치킨 도시락, 비비고빵, 팔도비빔국수….

 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편의점들이 식음료 회사의 인기 상품을 변형한 이색 상품을 쏟아내고 있다.

 오랜 시간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상품을 기반으로 '맛'을 보장하면서 기존의 틀을 깨는 '재미'로 색다른 경험을 중시하는 젊은 소비자들을 사로잡으려는 시도다.

 이마트24는 쌀로별 외에도 롯데웰푸드의 20∼30년 역사를 지닌 바닐라 아이스크림 빵빠레를 과자로, ABC초콜릿은 핫초코로 각각 변형하는 등 참신한 상품을 내놨다.

 이마트24 관계자는 "익숙한 브랜드의 새로운 변신을 통해 차별화된 맛은 물론 쇼핑의 재미를 높였다"고 말했다.

 다른 편의점들 역시 식음료 회사와 협업을 늘려 기발한 상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CU는 지난 3월 CJ제일제당과 공동 기획으로 비비고·햇반·백설·맛밤을 활용한 프리미엄 냉장빵을 선보였다.

 비비고 만두소와 햇반의 밥알, 백설의 양념장, 맛밤의 밤 다이스를 빵에 넣은 것이다. 해당 시리즈는 출시 이후 20만개 이상 판매됐다.

 같은 달 농심과 협업으로 짜파게티를 색다른 레시피로 즐길 수 있는 간편식도 내놨다. 짜파게티의 만능 소스로 만든 도시락, 김밥, 햄버거 등 6종이다.

 해당 상품이 흥행하면서 지난 6월에는 농심의 비빔라면 배홍동을 활용한 간편식도 내놨다.

 GS25는 올해 CJ제일제당, 동원, 대상, 팔도 등 식음료 업계와 협업한 상품 10여개를 출시했다. 특히 '아는 맛'을 간편식으로 재구성한 상품들의 인기가 좋다.

 지난달에는 여름철 인기 비빔라면인 팔도비빔면을 라면 대신 소면으로 선보인 팔도비빔국수와 팔도삼겹구이한판도시락, 팔도우삼겹주먹밥을 선보였다.

 지난 8월에는 밥에 바로 먹는 참기름 참치로 알려진 동원 맛참 한 캔을 동봉해 밥에 비벼 먹을 수 있도록 구성한 동원맛참정찬도시락은 출시했다. 이 상품은 출시 이후 20만개가 판매됐다.

 이같이 편의점이 식음료 회사와 협업을 확대하는 데는 식음료 회사의 수요도 자리 잡고 있다.

 편의점은 전국 곳곳에 점포가 있는 만큼 식음료 회사의 판매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특히 편의점의 주 고객인 10·20대에게 오래된 브랜드를 새롭게 소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편의점 관계자는 "식음료 업계와 협업한 아이디어 상품은 차별화된 맛과 재미로 '펀슈머'(Fun+consumer·재미난 상품을 찾아 즐기는 소비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며 "식음료 업계도 상품의 인지도 향상이나 이미지 제고 등의 이점이 있어 협업에 적극적"이라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사직 전공의들, '침묵' 대전협에 불만 고조…"향후 계획 밝혀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에도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지 않는 전공의 대표에 대해 전공의 사회 내부에서 '비토'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전공의들은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의 의사소통 구조가 윤석열 정부와 다르지 않다며 간담회 개최 등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 개별 활동을 이어갈 것이라고 예고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원광대병원 사직 전공의인 김찬규 씨를 포함한 전공의 30여명은 지난 19일 대전협의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한 성명을 공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그간 전공의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날치기 의정 합의'가 없도록 노력해오셨을 비대위원장님의 노력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면서도 "다만 지금 대전협의 의사소통 구조는 누군가가 보기에는, 우리가 비난했던 윤석열 정부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지금까지 내부 소통에서 평(平) 전공의들의 의견 전달 창구는 분절적이었다"며 "협상을 위한 거버넌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조차 알지 못했고, 어떤 노력이 진행되고 있는지 정보가 공유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처럼 끝내 자기 만족적인 메타포(은유)와 제한된 소통만을 고수하며 희생을 늘려간다면 다음이 있을 수 있을까"라며 "와해는 패배보다 더 해롭다"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