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사 '맛'에 편의점 '재미' 더했다…협업상품 전성시대

과자→전통주·만두→빵 등 색다른 조합…"기존 상품 이미지 제고"

  쌀로별주, 용가리 치킨 도시락, 비비고빵, 팔도비빔국수….

 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편의점들이 식음료 회사의 인기 상품을 변형한 이색 상품을 쏟아내고 있다.

 오랜 시간 사람들에게 사랑받은 상품을 기반으로 '맛'을 보장하면서 기존의 틀을 깨는 '재미'로 색다른 경험을 중시하는 젊은 소비자들을 사로잡으려는 시도다.

 이마트24는 쌀로별 외에도 롯데웰푸드의 20∼30년 역사를 지닌 바닐라 아이스크림 빵빠레를 과자로, ABC초콜릿은 핫초코로 각각 변형하는 등 참신한 상품을 내놨다.

 이마트24 관계자는 "익숙한 브랜드의 새로운 변신을 통해 차별화된 맛은 물론 쇼핑의 재미를 높였다"고 말했다.

 다른 편의점들 역시 식음료 회사와 협업을 늘려 기발한 상품을 앞다퉈 내놓고 있다.

 CU는 지난 3월 CJ제일제당과 공동 기획으로 비비고·햇반·백설·맛밤을 활용한 프리미엄 냉장빵을 선보였다.

 비비고 만두소와 햇반의 밥알, 백설의 양념장, 맛밤의 밤 다이스를 빵에 넣은 것이다. 해당 시리즈는 출시 이후 20만개 이상 판매됐다.

 같은 달 농심과 협업으로 짜파게티를 색다른 레시피로 즐길 수 있는 간편식도 내놨다. 짜파게티의 만능 소스로 만든 도시락, 김밥, 햄버거 등 6종이다.

 해당 상품이 흥행하면서 지난 6월에는 농심의 비빔라면 배홍동을 활용한 간편식도 내놨다.

 GS25는 올해 CJ제일제당, 동원, 대상, 팔도 등 식음료 업계와 협업한 상품 10여개를 출시했다. 특히 '아는 맛'을 간편식으로 재구성한 상품들의 인기가 좋다.

 지난달에는 여름철 인기 비빔라면인 팔도비빔면을 라면 대신 소면으로 선보인 팔도비빔국수와 팔도삼겹구이한판도시락, 팔도우삼겹주먹밥을 선보였다.

 지난 8월에는 밥에 바로 먹는 참기름 참치로 알려진 동원 맛참 한 캔을 동봉해 밥에 비벼 먹을 수 있도록 구성한 동원맛참정찬도시락은 출시했다. 이 상품은 출시 이후 20만개가 판매됐다.

 이같이 편의점이 식음료 회사와 협업을 확대하는 데는 식음료 회사의 수요도 자리 잡고 있다.

 편의점은 전국 곳곳에 점포가 있는 만큼 식음료 회사의 판매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플랫폼이기 때문이다. 특히 편의점의 주 고객인 10·20대에게 오래된 브랜드를 새롭게 소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편의점 관계자는 "식음료 업계와 협업한 아이디어 상품은 차별화된 맛과 재미로 '펀슈머'(Fun+consumer·재미난 상품을 찾아 즐기는 소비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며 "식음료 업계도 상품의 인지도 향상이나 이미지 제고 등의 이점이 있어 협업에 적극적"이라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