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을 의약품으로…'생균치료제' 주목

체내 원활 작용·다양한 적응증 등 강점…"임상 3상 성공률 낮아" 한계도

 박테리아 등 살아있는 미생물을 주성분으로 제조한 의약품인 '생균치료제'(LBP)가 주목받고 있다.

 제약·바이오 업계,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따르면 생균치료제는 같거나 다른 종의 미생물로부터 유래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미생물 균주를 포함하는 의약품으로 정의된다.

 항생제 내성 유전자 제거 등을 위해 유전적으로 변형된 미생물로 구성된 재조합 LBP도 생균치료제에 포함될 수 있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도 생균치료제 개발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고바이오랩은 중점 약효군을 면역, 대사, 뇌 등 3개 분야로 나눠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존재하는 미생물의 집합체를 의미한다.

 이들 제품군 중 건선을 주요 적응증으로 하는 'KBL-697'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으로부터 임상 2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고 투약을 진행 중이다.

 지놈앤컴퍼니는 다양한 종류의 암을 적응증으로 하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 후보물질을 도출해 제품화를 위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이 가운데 'GEN-001'은 건강한 사람의 장에서 분리한 '락토코커스 락티스' 균주를 주성분으로 한 먹는 형태의 치료제로 위암, 담도암 등을 적응증으로 한다.

 위암 적응증에 대해서는 독일 머크의 면역항암제 '바벤시오'와 병용해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담도암을 대상으로는 미국 머크의 면역항암제 '기트루다'와 병용 투여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마이크로바이옴 면역항암치료제 'CJRB-101'에 대해 FDA로부터 임상 1·2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고 흑색종 환자 등을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생균치료제 개발에 주력하는 데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제품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을 제기한다.

 식약처 소속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은 최근 발표한 '생균치료제 개발 및 규제 동향'에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생균치료제는 주목해야 할 신개념 의약품"이라며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수많은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의약품 분야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라며 "다른 플랫폼의 의약품보다 임상 1상 진입은 상대적으로 쉬우나 임상 3상 성공률은 낮게 나타나는 등 절대적 평가를 하기에는 아직 이른 상황"이라고 한계를 지목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기후변화로 산림재해 강도·빈도↑…질병 매개체 늘 수도"
기후 변화로 산림 재해의 강도와 빈도가 커지고, 질병 매개체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김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8일 질병관리청과 대한예방의학회가 서울스퀘어에서 연 기후보건포럼에서 발표한 '환경부 기후변화평가보고서 결과 및 시사점'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보고서를 토대로 "미래 산림의 연간 탄소 흡수량은 줄고, 산림 재해의 강도와 빈도는 늘 것"이라며 "기온 변화로 작물의 재배 면적과 병해충 발생 위험이 시공간적으로 변한 탓에 새로운 병해충과 잡초가 발생할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1968∼2023년 우리 바다의 표층 수온은 전 세계 평균의 2배 이상인 약 1.44도 올랐다"며 "미래에는 주요 상업성 어종 서식지와 어류의 출현이 줄고, 양식품종 중에서는 해조류 양식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기후 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과 더불어 기상 재해, 대기오염, 감염병, 정신건강 문제 등 다양한 건강 위험이 커질 것"이라며 "이에 따른 건강 피해는 지역적·사회적 취약성에 따라 불균등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취약 인구·지역을 대상으로 적절히 개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