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진료 병의원 4천여곳 적정성평가 공개…1등급 895곳

우울증 경과 모니터링하는 '재평가 시행률' 14.1%로 낮아

 전국 4천여곳 병·의원의 우울증 외래 진료 적정성을 평가한 결과 895곳이 1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를 누리집(www.hira.or.kr)과 모바일 앱(건강e음)에 공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전국 상급종합병원부터 의원급까지 의료기관 4천114곳이 지난해 1∼6월 만 18세 이상 우울증 외래 신규 환자 45만6천53명을 진료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1등급 기관은 서울지역에 359곳으로 가장 많았다.

 평가 기준은 ▲ 모니터링을 위해 환자를 주기적으로 재방문하도록 했는지 ▲ 맞춤형 치료를 위해 우울 증상을 객관화된 도구로 평가했는지 ▲ 재발이 없도록 항우울제를 충분한 기간에 꾸준히 복용하도록 처방했는지 등이다.

 지표별로 보면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은 전체 평균 42.3%, '첫 방문 후 8주 이내 3회 이상 방문율'은 23.3%였다. 각각 지난 평가보다 2.9%포인트, 1.8%포인트 올랐다.

 초기 평가 시행률은 44.7%, 항우울제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28.0%, 항우울제 180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17.4%였다.

 심평원은 이번 평가에서 동네 의원을 중심으로 대부분 지표가 향상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평가 척도를 활용해 120일 이내 우울 증상을 모니터링한 환자 비율인 '재평가 시행률'은 전체 평균 14.1%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아울러 지표별 점수는 진료기관 종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은 접근성이 좋은 의원의 경우 45.0%였으나, 일반 병원은 19.0%에 그쳤다.

 항우울제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상종병원은 60.5%에 달했으나 일반 병원은 20.7%, 의원은 26.9%였다.

[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119가 이송병원 선정하게 법 바꿔야"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를 막기 위해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병원에 '환자 이송 허락'을 받는 관행을 없애고 병원을 선정할 수 있도록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법을 바꿔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이런 내용을 담은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지침의 쟁점과 실효성 확보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응급실 뺑뺑이는 119 구급대가 이송하는 환자를 응급실에서 받기 어려워 다른 병원으로 다시 이송해야 하는 재이송 상황을 뜻한다. 보고서는 "응급실 뺑뺑이의 실체는 119가 여러 의료기관에 전화를 걸어 이송할 곳을 찾는, 사실상 '전화 뺑뺑이'"라며 "응급의료기관의 수용능력 확인 절차가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면서 사전 허락을 받는 절차가 돼 버렸다"고 짚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12월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하지 못하도록 하는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시행됐고 보건복지부는 개정 후속 조치로 지난해 4월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표준 지침을 배포했다. 지침은 응급의료기관이 병상 포화, 진단 장비 사용 불가, 모니터링 장비 부족, 중증응급환자 포화 등으로 1회에 한해 2시간까지만 수용 곤란 고지를 할 수 있도록 제한했지만 응급실 재이송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