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진료 병의원 4천여곳 적정성평가 공개…1등급 895곳

우울증 경과 모니터링하는 '재평가 시행률' 14.1%로 낮아

 전국 4천여곳 병·의원의 우울증 외래 진료 적정성을 평가한 결과 895곳이 1등급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2차 우울증 외래 적정성 평가를 누리집(www.hira.or.kr)과 모바일 앱(건강e음)에 공개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전국 상급종합병원부터 의원급까지 의료기관 4천114곳이 지난해 1∼6월 만 18세 이상 우울증 외래 신규 환자 45만6천53명을 진료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1등급 기관은 서울지역에 359곳으로 가장 많았다.

 평가 기준은 ▲ 모니터링을 위해 환자를 주기적으로 재방문하도록 했는지 ▲ 맞춤형 치료를 위해 우울 증상을 객관화된 도구로 평가했는지 ▲ 재발이 없도록 항우울제를 충분한 기간에 꾸준히 복용하도록 처방했는지 등이다.

 지표별로 보면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은 전체 평균 42.3%, '첫 방문 후 8주 이내 3회 이상 방문율'은 23.3%였다. 각각 지난 평가보다 2.9%포인트, 1.8%포인트 올랐다.

 초기 평가 시행률은 44.7%, 항우울제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28.0%, 항우울제 180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17.4%였다.

 심평원은 이번 평가에서 동네 의원을 중심으로 대부분 지표가 향상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평가 척도를 활용해 120일 이내 우울 증상을 모니터링한 환자 비율인 '재평가 시행률'은 전체 평균 14.1%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아울러 지표별 점수는 진료기관 종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첫 방문 후 3주 이내 재방문율은 접근성이 좋은 의원의 경우 45.0%였으나, 일반 병원은 19.0%에 그쳤다.

 항우울제 84일 이상 처방 지속률은 상종병원은 60.5%에 달했으나 일반 병원은 20.7%, 의원은 26.9%였다.

[복지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